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4)
- 저자
- 박화춘 김철희 윤수린 김재은 김민서 한종택 유지인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24-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4.12.31
- 등록일
- 2025.02.13
주제어
인적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 유네스코, Human Resource Development, Technical &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Global cooperation, UNESCO
요 약_xi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사업의 내용 6 제3절 사업 추진의 방법 및 일정 10 제2장 UNESCO-UNEVOC, 국제 및 국내 TVET 동향_19 제1절 UNESCO-UNEVOC의 개요 및 국내외 TVET 동향 21 제2절 국제 및 국내 TVET 동향 33 제3장 워크숍 준비_111 제1절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113 제2절 워크숍 수요 분석 및 주제 선정 125 제3절 워크숍 사전 준비 144 제4장 2024년 UNESCO-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_151 제1절 워크숍 개최 153 제2절 TVET 학교 및 유관기관 견학 197 제3절 워크숍 만족도 결과 및 시사점 204 제5장 국내외 유관기관 전문가 토론회 및 세미나 개최_223 제1절 국내 전문가 토론회 개최 225 제2절 국내외 TVET 국제 사업 전문가 세미나 개최 236 제3절 직능연-국제 유관기관(JILPT, 일본) 간 국제 세미나 245 제6장 사업의 성과 및 정책 제언_253 제1절 2024년 사업 성과 요약 255 제2절 워크숍 성과 확산: 홍보와 공유 257 제3절 시사점과 정책 제언 261 참고문헌_263 부 록_275 1.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및 워크숍 수요조사 문항 277 2. 2024 워크숍 포스터(국・영문) 291 3. 2024 워크숍 만족도 조사 문항(초청자용) 293 4. 2024 워크숍 만족도 조사 문항(국내 참가자용) 298 5. URC 사업 연혁(2000-2023) 305
URC 사업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UNESCO-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회원센터와 국내외 TVET 유관기관의 네트워킹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해당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동아시아・동남아시아 TVET 이슈에 대해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지역 정책 입안자 및 TVET 전문가와의 국제교류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더불어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 K-TVET 모델을 홍보하고, 해당 지역의 TVET 제도와 정책 발전을 지원하고자 한다(박화춘 외, 2021; 윤수린 외, 2023; 최지희 외, 2020). 이를 위한 URC 기본사업의 구체적인 활동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능연은 UNESCO-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로서, UNESCO-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지역의 TVET 동향을 조사한다. 최근에는 기후위기로 인한 녹색 전환과 AI 발전으로 인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미래 기술과 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을 고려해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지역의 TVET 동향과 이슈를 파악함으로써 구체적인 국제 협력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UNESCO-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 워크숍을 통해 클러스터 지역 회원센터 간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TVET 이슈에 대해 협력 방안을 도출한다. 이 워크숍에서 각 국의 TVET 정책 입안자, 정책 실행자, 학계 연구자 등 다양한 전문가가 교류한다. 2024년 UNESCO-UNEVOC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에서는 국내 TVET 유관기관을 포함하여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 클러스터 회원센터 및 타 지역 국제기구와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셋째, UNESCO-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을 통하여 Korea-TVET 모델을 확산시킨다. 직능연은 1997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정책, 제도, 교육과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2024년은 직능연의 설립 27주년이 되는 해로서 Korea-TVET의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진단하여 향후 국제무대에서 Korea-TVET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표 1-1>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4)의 목표 및 내용 9 <표 1-2> 국외 전문가 대상 전문가 협의회의 진행 현황(2024) 11 <표 1-3> 워크숍 개최 단계별 추진 내용 12 <표 1-4> 2024년 워크숍 14 <표 1-5> TVET 유관기관 견학 실시 14 <표 1-6> 워크숍 참여자 및 세션별 전반적 만족도 조사 결과 15 <표 1-7> 국내 유관기관 전문가 대상 토론회 개최 15 <표 1-8> 국내외 TVET 유관기관 전문가 대상 세미나 개최 16 <표 1-9>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4) 추진 일정 17 <표 2-1> 지역별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현황 27 <표 2-2> 지역별 클러스터 및 UNEVOC 센터 세부 유형 28 <표 2-3>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의 UNEVOC 센터 30 <표 2-4> 중국의 UNEVOC Center 현황 48 <표 2-5> 중국의 TVET 학제 49 <표 2-6> 중국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50 <표 2-7> 일본의 UNEVOC Center 현황 52 <표 2-8> 몽골의 UNEVOC Center 현황 56 <표 2-9> 몽골의 TVET 학제 57 <표 2-10> 몽골의 직업자격체계(VQF) 현황 58 <표 2-11> 인도네시아의 UNEVOC Center 현황 60 <표 2-12> 인도네시아의 TVET 학제 61 <표 2-13> 말레이시아의 UNEVOC Center 현황 64 <표 2-14> 말레이시아의 TVET 학제 65 <표 2-15> 싱가포르의 UNEVOC Center 현황 71 <표 2-16> 싱가포르의 TVET 학제 72 <표 2-17> 캄보디아의 UNEVOC Center 현황 77 <표 2-18> 캄보디아의 TVET 학제 78 <표 2-19> 베트남의 UNEVOC Center 현황 82 <표 2-20> 라오스의 UNEVOC Center 현황 87 <표 2-21> 라오스의 TVET 학제 87 <표 2-22> 태국의 UNEVOC Center 현황 92 <표 2-23> 필리핀의 UNEVOC Center 현황 96 <표 2-24> 필리핀의 TVET 학제 96 <표 2-25> 브루나이의 UNEVOC Center 현황 101 <표 2-26> 브루나이의 TVET 학제 102 <표 2-27> 미얀마의 UNEVOC Center 현황 107 <표 3-1> UNESCO-UNEVOC Kick-off 회의 114 <표 3-2> UNESCO Beijing Office 회의 115 <표 3-3> Temasek Polytechnic 회의 115 <표 3-4> 동아시아・동남아시아 국가별 TVET 주제어 117 <표 3-5> UNESCO-UNEVOC 전문가 자문 협의회의 개최 현황 119 <표 3-6> UNESCO 베이징 사무소 자문 협의회 121 <표 3-7> 주제별 세부 문항 122 <표 3-8> 조사 응답자 특성 126 <표 3-9> 국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5점 척도) 128 <표 3-10> 기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5점 척도) 132 <표 3-11> 국가 및 기관별 TVET 우선순위(주관식) 135 <표 3-12> 제안하고 싶은 TVET 주제(주관식) 136 <표 3-13> 워크숍 발표 희망 세부 주제 141 <표 3-14> 2024년 워크숍 1차 온라인 협의회(’24.7.23.) 144 <표 3-15> 2024년 워크숍 2차 온라인 협의회(’24.7.24.) 146 <표 3-16> UNESCO-UNEVOC 본부 사전 협의회 149 <표 4-1> 워크숍 개요 154 <표 4-2> 워크숍 세부 주제 및 프로그램 156 <표 4-3> 세션 1: 발표 1 167 <표 4-4> 세션 1: 발표 2 170 <표 4-5> 세션 2: 발표 3 175 <표 4-6> 세션 2: 발표 4 177 <표 4-7> 세션 3: 발표 5 183 <표 4-8> 세션 3: 발표 6 186 <표 4-9> 세션 4: 발표 7 191 <표 4-10> 세션 4: 발표 8 194 <표 4-11> 초청자 만족도 조사 항목 205 <표 4-12>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기본 사항 206 <표 4-13>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주제 만족도 207 <표 4-14>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가장 만족한 3개 발표 208 <표 4-15>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세션 관련 추가 의견(주관식) 209 <표 4-16>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장 견학 만족도 209 <표 4-17>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장 견학 관련 추가 의견(주관식) 210 <표 4-18>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11 <표 4-19>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12 <표 4-20>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참여 의사 213 <표 4-21>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대주제 제안(주관식) 213 <표 4-22>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향후 발표 주제 및 연사 제안(주관식) 213 <표 4-23>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관련 기타 제안(주관식) 213 <표 4-24>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항목 214 <표 4-25>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기본 사항 215 <표 4-26>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주제 만족도 216 <표 4-27>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가장 만족한 3개 발표 217 <표 4-28>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18 <표 4-29>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관련 기타 의견(주관식) 219 <표 4-30>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19 <표 4-31>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참여 의사 220 <표 4-32>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대주제 제안(주관식) 220 <표 4-33>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관련 기타 제안(주관식) 221 <표 5-1> 국내 전문가 토론회 225 <표 5-2> 전문가의 국제 협력 사업 경험 요약 226 <표 5-3> 국제 협력 사업 추진에서 직면하는 문제점과 한계 230 <표 5-4> 향후 국제 협력 사업 추진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과 개선 방안 232 <표 5-5> 지역별 향후 국제 협력 사업 추진 방향 233 <표 5-6> 국내외 TVET 국제 사업 유관기관의 전문가 대상 세미나 개최 236 <표 5-7>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1) 237 <표 5-8>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2) 238 <표 5-9>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3) 240 <표 5-10>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4) 241 <표 5-11> 직능연-국제 유관기관(JILPT, 일본) 간 국제 세미나 245 <표 6-1> 사업의 주요 성과 255 <표 6-2> 2024년 워크숍 홍보 257 [그림 2-1] 말레이시아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68 [그림 2-2] 싱가포르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74 [그림 2-3] 캄보디아의 TVET 학제 79 [그림 2-4] 필리핀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98 [그림 2-5] 브루나이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04 [그림 2-6] 미얀마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08 [그림 3-1] 국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대주제) 127 [그림 3-2] 국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세부 주제) 128 [그림 3-3] 기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대주제) 131 [그림 3-4] 기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세부 주제) 131 [그림 3-5] 한국과의 TVET 협력 희망 분야 138 [그림 3-6] TVET 국제 협력 희망 분야 139 [그림 3-7] 2024년 워크숍 희망 대주제 140 [그림 3-8] 2024년 워크숍 1차 온라인 협의회(’24.7.23.) 146 [그림 3-9] 2024년 워크숍 2차 온라인 협의회(’24.7.24.) 147 [그림 3-10] UNESCO-UNEVOC 공식 홈페이지 홍보 내용 150 [그림 4-1] 워크숍 개회사(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 160 [그림 4-2] 워크숍 축사(Dr. Friedrich Huebler 센터장) 161 [그림 4-3] 워크숍 첫째 날 현장 참석자 단체 사진 161 [그림 4-4] 기조연설(김주섭 박사, 한국직업자격학회 고문) 163 [그림 4-5] 특별세션 및 토론(조 훈 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국제협력실장) 165 [그림 4-6] 워크숍 세미나 세션 1 사진 171 [그림 4-7] 워크숍 세미나 세션 2 사진 178 [그림 4-8] 워크숍 세미나 세션 3 사진 187 [그림 4-9] 워크숍 세미나 세션 4 사진 195 [그림 4-10]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견학: 학교 소개 198 [그림 4-11]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시설 견학 1 199 [그림 4-12]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시설 견학 2 199 [그림 4-13]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시설 견학 3 200 [그림 4-14]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참석자 단체 사진 200 [그림 4-15]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견학 사진 201 [그림 4-16] 교과서박물관 견학 사진 202 [그림 4-17] 대통령기록관 견학 사진 203 [그림 4-18]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주제 만족도 207 [그림 4-19]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장 견학 만족도 210 [그림 4-20]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11 [그림 4-21]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12 [그림 4-22]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주제 만족도 216 [그림 4-23]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18 [그림 4-24]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19 [그림 6-1] UNESCO-UNEVOC 홈페이지 홍보 내용 258 [그림 6-2]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게시판 홍보 내용 258 [그림 6-3]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보도자료 홍보 내용 259 [그림 6-4] UNESCO-UNEVOC Quarterly Issue에 소개 26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4) | 2024.01.01~2024.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