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환의 시대, 미래의 일과 숙련 전망체계 구축

저자
반가운 조성익 박라인 윤종혁 권현지 황하 이동임
분류정보
기본연구(2024-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2.31
등록일
2025.02.18
주제어
미래의 일, 노동시장, 디지털 전환, 기후 변화, 숙련, future of work, labor market, digital transformation, climate chnage, skill
요 약	xi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제2장 미래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제1절 도입	
	제2절 핀란드의 미래 연구	
	제3절 기술 발전과 노동시장 변화에 관한 기존 연구	
	제4절 AI 기술은 학제 간 대화를 어떻게 재개하는가	
	제5절 기존 연구가 본 연구의 전망체계에 가지는 함의	
제3장 AI 기술로 인한 노동시장의 과업내용 변화 전망	
	제1절 도입	
	제2절 전망을 위한 분석 모형 및 자료	
	제3절 전망을 위한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제4절 소결	
제4장 AI 기술로 인한 기업의 스킬수요 변화 전망	
	제1절 도입	
	제2절 AI 기술로 인한 스킬수요 전망 모델 구축	
	제3절 AI 기술로 인한 스킬수요 전망 모델 추정 결과	
	제4절 소결	
제5장 언어모델을 활용한 전망 모델 구축	
	제1절 이전 연구(2021; 2022) 및 금번 연구(2024) 방법론	
	제2절 실시간 사업체 관련 담당자 조사	
	제3절 조사결과	
제6장 AI 기술로 인한 과업과 직업 대체 전망	
	제1절 과업 대체 예측결과	
	제2절 직업 대체 예측결과	
	제3절 기술적·사회·경제적 직업의 대체가능성		
	제4절 전문가 대상 조사 결과와의 비교	
	제5절 소결	
제7장 AI 기술과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미래	
	제1절 도입	
	제2절 복지·성장체제의 다양성과 디지털 전환	
	제3절 AI 기술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업 사례	
	제4절 어떻게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인가	
	제5절 소결	
제8장 결 론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연구의 함의 	
SUMMARY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KNOW의 업무수행능력과 PIAAC 스킬 지표의 전환 자료	 
...본 연구는 한 번의 조사와 하나의 모델을 통한 전망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연구 방법론과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결합하여 이용하는 전망체계를 구축한다. 즉 전망을 위해 매번 새롭게 조사하기보다 기존에 존재하는 여러 정보를 최대한 취합하여 미래 전망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러 기존 연구에서 구축된 자료는 당연히 해당 연구의 목적에 맞게 조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직접 활용하거나 다른 자료와 결합하면 정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을 해석하여 구체적인 전망을 하는 것은 별도의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서 수행한다.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전망을 수행하는 이유는 기존 자료의 재활용이라는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미래가 결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가능성에 열려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과연 미래 대한민국 노동시장에서는 AI 기술로 인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 우리가 원하는 미래일 것인가, 피하고 싶은 미래일 것인가? 닫힌 미래가 아니라 열린 미래라면 우리는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해 어떠한 정치적·정책적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
<표 3-1> 총임금액 분해 항목별 산식 및 자료 출처	73
<표 3-2> 조성익 외(2022)의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74
<표 3-3> 조성익 외(2022)의 산업별 근로자 수 전망	75
<표 3-4> 조성익 외(2022)의 산업별 부가가치와 근로자 수 증감률 전망	76
<표 3-5> 2022~2030년 노동 확장적 기술·비기술 요인 증가율, 노동소득분배율, 대체탄력성 변화에 따른 미래 시나리오	80
<표 3-6> 임지은·정진화(2022)의 총임금액 변화 분해 결과	82
<표 3-7> 노동 확장적 기술·비기술 요인 변화에 따른 분해 결과 비교(시나리오 ①, ②, ③)	84
<표 3-8>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따른 분해 결과 비교(시나리오 ①, ⑩, ⑲)	88
<표 3-9> 대체탄력성 변화에 따른 분해 결과 비교(시나리오 ①, ④, ⑦)	92
<표 3-10> 기초 시나리오, 긍정적 시나리오, 부정적 시나리오 분해 결과	96
<표 4-1> AI의 업무수행능력 수준 현재와 미래 전망 	118
<표 4–2> 기업의 스킬수요 영향요인 추정 결과	124
<표 4-3> PIAAC 스킬지표 관련 한국의 값과 상위, 중위, 하위 경곗값	126
<표 4-4> PIAAC 스킬지표에 대한 2030년 AI 기술 수준 전망	129
<표 5-1> 사업체 관련 담당자 워크숍 참여자 개요	146
<표 5-2> 사업체 관련 담당자 워크숍 참여자 정보 	146
<표 5-3> 조사 참여자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판별 결과 	156
<표 5-4> 편향 수준별 편향 모델 간 판별 불일치율: 기술적 대체가능성	157
<표 5-5> 편향 수준별 편향 모델 간 판별 불일치율: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158
<표 5-6> 조사 참여자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판별 결과 	161
<표 5-7> 조사 참여자의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판별 결과 	162
<표 5-8> 조사 차시별 모델 학습 데이터  	163
<표 5-9> 모델별 성능 평가 지표: 기술적 대체가능성(대체 편향 모델)	164
<표 5-10> 모델별 성능 평가 지표: 기술적 대체가능성(미대체 편향 모델)	166
<표 5-11> 모델별 성능 평가 지표: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대체 편향 모델)	169
<표 5-12> 모델별 성능 평가 지표: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미대체 편향 모델)	171
<표 5-13> 사업체 관련 담당자와 모델의 과업 대체 여부 판별 결과: 기술적 대체가능성	174
<표 5-14> 사업체 관련 담당자와 모델의 과업 대체 여부 판별 결과: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176
<표 6-1> 사업체 모델의 과업 대체 예측 결과	182
<표 6-2> 기술적 관점에서 인간에 의해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된 과업들	184
<표 6-3> 기술적 관점에서 보조적 인간의 영역에 해당하는 직업들	191
<표 6-4> 장의사 및 장례 준비인의 과업별 대체 여부	192
<표 6-5> 배우 직업을 구성하는 과업과 대체 여부 추론 결과	194
<표 6-6>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AI와 로봇이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	197
<표 6-7>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AI와 로봇이 보조역할을 하는 직업들	198
<표 6-8>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를 구성하는 과업과 대체 여부 추론 결과	200
<표 6-9>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인간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들	202
<표 6-10> 직업 대체 예측 결과 요약	204
<표 6-11> 기술적·사회·경제적 대체가능 위험군 분류 결과	207
<표 6-12> 기술적 대체가능성과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이 높은 직업 목록	212
<표 6-13> 기술적 대체 위험은 높으나, 사회·경제적 대체 위험은 낮은 직군	217
<표 6-14> 배우 직업을 구성하는 과업과 대체 여부 추론 결과	220
<표 6-15> 전문가 대상 조사와 비교 결과(과업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223
<표 6-16> 전문가 대상 조사와 비교 결과(과업의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228
<표 7-1> 인적자본 형성의 세 가지 세계	250
<표 7-2> 다섯 가지 성장체제의 성격	253
<표 7-3> 혁신-고용-평등 기준으로 본 OECD 주요국의 유형분류	264
<부표 4-1> KNOW의 업무수행능력 설명 	359
<부표 4-2> PIAAC의 스킬관련 지표 설명	362
<부표 4-3> KNOW의 업무수행능력과 PIAAC 스킬 지표의 상관관계(양적 접근)	363
<부표 4-4> KNOW의 업무수행능력과 PIAAC 스킬 지표의 상관관계에 응답한 전문가 정보	368
<부표 4-5> KNOW의 업무수행능력과 PIAAC 스킬 지표의 상관관계(질적 접근)	369
[그림 3-1] 1995~2030년 총임금액 변화 분해(시나리오 ①, ②, ③)	85
[그림 3-2] 1995~2030년 과업내용 변화 구성(시나리오 ①, ②, ③)	86
[그림 3-3] 1995~2030년 총임금액 변화 분해(시나리오 ①, ⑩, ⑲)	89
[그림 3-4] 1995~2030년 과업내용 변화 구성(시나리오 ①, ⑩, ⑲)	90
[그림 3-5] 1995~2030년 총임금액 변화 분해(시나리오 ①, ④, ⑦)	93
[그림 3-6] 1995~2030년 과업내용 변화 구성(시나리오 ①, ④, ⑦)	94
[그림 3-7] 기초 시나리오(①) 총임금액 변화 분해 	97
[그림 3-8] 기초 시나리오(①) 과업내용 변화 구성	98
[그림 3-9] 긍정적 시나리오(⑭) 총임금액 변화 분해 	99
[그림 3-10] 긍정적 시나리오(⑭) 과업내용 변화 구성	100
[그림 3-11] 부정적 시나리오(㉗) 총임금액 변화 분해	101
[그림 3-12] 부정적 시나리오(㉗) 과업내용 변화 구성	102
[그림 4-1] PIAAC 스킬지표에 대한 2030년 AI 기술 수준 전망(질적 상관관계)	130
[그림 4-2] PIAAC 스킬지표에 대한 2030년 AI 기술 수준 전망(양적 상관관계)	131
[그림 5-1] 2021년 연구에서 사용된 인공신경망 모델	140
[그림 5-2] 2022년 연구에서 사용된 가중 문서-단어 행렬 도출 과정	142
[그림 5-3] 참여자 등록 화면 	148
[그림 5-4] 참여자 관리 화면 (진행자용)	149
[그림 5-5] 실시간 델파이 조사 시스템 기반 인간-기계 상호학습 	151
[그림 5-6] 참여자 메인 화면	152
[그림 5-7] 참여자 응답 화면 	152
[그림 5-8] 조사 진행 현황 화면 (진행자용)	153
[그림 5-9] 과업별 참여자 응답 확인 화면 (진행자용) 	154
[그림 5-10] 모델 학습 및 추론 프롬프트(prompt) 구성 예시 (Task ID: 8823)	159
[그림 5-11] 성능 평가 지표 변화 추이: 기술적 대체가능성(대체 편향 모델)	165
[그림 5-12] 성능 평가 지표 변화 추이: 기술적 대체가능성(미대체 편향 모델)	167
[그림 5-13] 성능 평가 지표 변화 추이: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_대체 편향 모델	169
[그림 5-14] 성능 평가 지표 변화 추이: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미대체 편향 모델) 	172
[그림 6-1] 직업별 기술적 대체가능성(핵심 vs 보조)	188
[그림 6-2] 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핵심 vs 보조)	189
[그림 7-1] AI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 2021년 	259
[그림 7-2] 글로벌 혁신 지수(GII), 2023년	260
[그림 7-3] OECD 주요국의 고용률과 저임금 고용비율 (2014~2023년 평균)	262
[그림 8-1] 전환의 시대, 미래의 일과 숙련 변화 	30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환의 시대, 미래의 일과 숙련 전망체계 구축 2024.01.01~202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