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주체성에 기초한 특성화고 미래 교육혁신 모형
- 저자
- 이수현 김남희 이정민 심미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4-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4.12.31
- 등록일
- 2025.02.26
주제어
학생주체성, 직업교육, 교육혁신, 종단분석, 교실관찰, student agency, vocational education, education reform, longitudinal data analysis, classroom observation
요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8 제2장 선행연구_13 제1절 학생주체성 개념과 측정 15 제2절 특성화고 학생에 대한 이해 32 제3절 학생주체성 촉진 및 저해 요인 42 제4절 학교혁신 모형과 주요 기제 52 제3장 학생주체성 개념 정립 및 측정도구 개발_69 제1절 개요 71 제2절 학생주체성 개념 및 모형 정립 76 제3절 학생주체성 구성 요인 정립 85 제4절 학생주체성 측정도구 개발 90 제4장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_101 제1절 개요 103 제2절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 107 제3절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와 인구통계학적 격차 121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30 제5장 특성화고 현장에서의 학생주체성_133 제1절 개요 135 제2절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생주체성 142 제3절 학교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학생주체성 145 제4절 특성화고 현장에서의 학생주체성 촉진 및 저해 요인 157 제5절 특성화고 현장에서의 학생주체성 발현 특성 175 제6절 소결 및 시사점 202 제6장 학생주체성 기반 특성화고 학교혁신 모형_209 제1절 학생주체성 기반 학교혁신 해외 사례 211 제2절 학교혁신 국내 사례 229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239 제4절 학생주체성 기반 특성화고 학교혁신 모형 242 제7장 결론 및 제언_247 제1절 연구 요약 및 결론 24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 258 제3절 정책적 제언 259 참고문헌_266 부록_293 [부록 1] 1차 델파이 설문지 295 [부록 2] 2차 델파이 설문지 301 [부록 3] 3차 델파이 설문지 312 [부록 4] 특성화고 학생 특성 조사 설문조사지 322
본 연구는 국내 특성화고 학생들의 교육현장 및 주체적 삶에서의 참여 기제를 파악하기 위해 학생주체성 형성과정과 환경적 기제를 종단 자료를 통해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OECD Education 2030에 제시된 학생주체성 모형에서 나아가 다양한 학생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생주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indicators)로 구성한다. 둘째, 특성화고에 입학한 학생들의 학생주체성과 관련하여 심리적・행동적 특성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초6부터 고2까지의 종단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학생주체성 형성에 미치는 환경적 변인과 이에 따른 종단적 격차를 확인한다. 셋째, 학생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드러나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생주체성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의 교실, 학교, 미래 직업 사회에서의 태도와 대응을 학생주체성 관점에서 분석한다. 넷째, 학생주체성에 기반한 교육혁신 해외 사례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교육 개입 방안과 그 효과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특성화고 미래 교육혁신 모형을 제시한다.
<표 2-1> 학생주체성 정의에 관한 선행연구 23 <표 2-2> 학생주체성 구인 및 문항에 대한 선행연구 29 <표 2-3> 특성화고 학생들이 특성화고 진학을 선택한 이유 34 <표 3-1> 델파이조사 설계 개요 73 <표 3-2> 델파이조사에 사용한 합치도 정의와 기준 74 <표 3-3> 1차 델파이조사 참여자의 전문성 76 <표 3-4> 2차, 3차 델파이조사 참여자의 전문성 83 <표 3-5> 학생주체성 개념에 대한 전문가 의견 합치도 84 <표 3-6> 학생주체성 개념의 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85 <표 3-7> 2차 델파이에 제시한 학생주체성 구성 요인 86 <표 3-8> 2차 델파이에 제시한 학생주체성 구성 요인으로서의 적절성 평정 87 <표 3-9> 3차 델파이에 제시한 학생주체성 구성 요인 88 <표 3-10> 3차 델파이에 제시한 학생주체성 구성 요인 적절성 평정 89 <표 3-11> 3차 델파이에 제시한 학생주체성 구성 요인 내용 서술의 적절성 평정 89 <표 3-12>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 분석을 위한 문항 추출 91 <표 3-13>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 분석을 위한 요인 구조 양호도 92 <표 3-14>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 분석을 위한 문항의 심리측정학적 속성 92 <표 3-15> 탐색적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 비교 결과 95 <표 3-16> 확인적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 비교 결과 97 <표 3-17> 최종 모형의 확인적요인분석 요인부하량과 신뢰도 계수 98 <표 4-1> 학생주체성 변인 측정 시점에 따른 기술통계 104 <표 4-2>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패널 비율 104 <표 4-3> 학생주체성 성장곡선모형 추정치: 주체적마음가짐 108 <표 4-4> 학생주체성 성장곡선모형 추정치: 주도적 행동 109 <표 4-5> 학생주체성 성장곡선모형 추정치: 노력지속 110 <표 4-6> 학생주체성 성장곡선모형 추정치: 자원활용 111 <표 4-7> 학생주체성 종단적 변화 추이 모형적합도 검정 112 <표 5-1> 설문조사 내용 136 <표 5-2> 응답자 특성 138 <표 5-3> 학생 수준 투입 변수 139 <표 5-4> 학교 수준 투입 변수 140 <표 5-5>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생주체성 수준: 성별 비교 142 <표 5-6>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생주체성 수준: 학년별 비교 143 <표 5-7>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생주체성 수준: 지역 규모별 비교 144 <표 5-8> 학생주체성 평균수준 학교 유형별 차이 검증 146 <표 5-9> 학교 유형별 특징 기술통계 148 <표 5-10> 학생주체성 수준에 대한 위계적선형모형 학교 수준모형의 적합도 150 <표 5-11> 학생주체성 요인에 대한 학교 수준 변인의 설명(1): HLM 154 <표 5-12> 학생주체성 요인에 대한 학교 수준 변인의 설명(2): HLM 155 <표 5-13> 학생주체성의 주체적마음가짐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 변인 163 <표 5-14> 학생주체성의 주체적 행동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 변인(1) 168 <표 5-15> 학생주체성의 주체적 행동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 변인(2) 172 <표 5-16> 교사 면담 참여자 정보 176 <표 5-17> 학생 면담 참여자 정보 176 [그림 1-1]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12 [그림 2-1] 특성화고 졸업자 수와 졸업 후 상태(2011~2023년) 40 [그림 2-2] 서오스트레일리아 교육부의 학교혁신 및 성과책임 프레임워크 57 [그림 2-3] 급속한 학교혁신을 위한 4개 영역의 프레임워크 60 [그림 2-4] 학교 개혁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모형 62 [그림 3-1] 개념 재정립 및 측정도구 개발 절차 72 [그림 3-2] 학생주체성 연구모형 초안 82 [그림 4-1] 주체적마음가짐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114 [그림 4-2] 주도적 행동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116 [그림 4-3] 노력지속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118 [그림 4-4] 자원활용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120 [그림 4-5] 주체적마음가짐의 종단적 변화와 인구통계학적 격차 123 [그림 4-6] 주도적 행동의 종단적 변화와 인구통계학적 격차 125 [그림 4-7] 노력지속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격차 127 [그림 4-8] 자원활용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격차 129 [그림 5-1] 학생주체성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평균 수준 비교 146 [그림 5-2] 학생주체성 하위요인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평균 차이: 위계적선형모형 예측값과 95% 신뢰 구간(1) 151 [그림 5-3] 학생주체성 하위요인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평균 차이: 위계적선형모형 예측값과 95% 신뢰 구간(2) 152 [그림 6-1] 미국 서니사이드고등학교의 학교혁신 모형 215 [그림 6-2] 서울특별시 혁신미래학교 추진 배경 231 [그림 6-3] 서울특별시 혁신미래학교 운영 세부과제 234 [그림 6-4] 서울특별시 혁신미래학교 지원 체계 235 [그림 6-5] 학생주체성 기반 특성화고 학교혁신 모형 245 [그림 7-1] 학생주체성 개념의 최종 모형 25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학생주체성에 기초한 특성화고 미래 교육혁신 모형 | 2024.01.01~2024.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