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2024)

저자
김지영 민주홍 반가운 윤혜준 장수아 윤종혁 김혜정 권현지 이진솔 강서울
분류정보
기본사업(2024-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2.31
등록일
2025.03.05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교육, 노동시장 이행, 진로경로, 패널조사, 직업교육훈련, Education, Transition from Education to Work, Career Path, Panel Surve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요 약_ⅸ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사업 내용	8
제2장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7차년도 조사 분석_21
	제1절 7차년도 데이터 구축 및 공개	23
	제2절 7차년도 데이터 활용	39
	제3절 7차년도 데이터 분석	41
제3장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8차년도 조사 실사_51
	제1절 8차년도 조사 준비	53
	제2절 8차년도 조사 실사	66
제4장 사업 기획 및 관리_85
	제1절 향후 조사 준비 및 관리	87
	제2절 자료 이용 편의성 제고	89
제5장 사업 성과 및 개선 방안_101
	제1절 사업 성과	103
	제2절 향후 계획 및 개선 방안	124
참고 문헌_131
부록_133
	<부록 1>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 보도자료	135
	<부록 2>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제19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 초록	138
	<부록 3> KRIVET 패널 학술대회에서 최근까지 발표된 논문 분석	164
본 사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구축: 교육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실증적 자료 구축을 통해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국가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중등·고등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여 국가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노동시장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교육-고용 간의 연계성 및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표 1-1> 주요 사업 내용	11
<표 1-2> 학교 유형별 1차년도(2016) 조사 응답자	12
<표 1-3> 학교 유형별 2차년도(2017) 조사 결과	13
<표 1-4> 학교 유형별 3차년도(2019) 조사 결과	15
<표 1-5> 학교 유형별 4차년도(2020) 조사 결과	16
<표 1-6> 학교 유형별 5차년도(2021) 조사 결과	17
<표 1-7> 학교 유형별 6차년도(2022) 조사 결과	18
<표 1-8> 학교 유형별 7차년도(2023) 조사 결과	19
<표 1-9> 학교 유형별 8차년도(2024) 조사 결과	20
<표 2-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7차년도 데이터 클리닝 기준	24
<표 2-2>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7차년도 데이터 클리닝 현황	30
<표 2-3>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대학분류코드	32
<표 2-4>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7차년도 자료 코드 부여	34
<표 2-5> 대학 유형	44
<표 2-6> 대학 계열	45
<표 2-7> 대학 만족도	46
<표 2-8> 현재 일자리 유무	46
<표 2-9> 월평균 임금 및 현재 일자리 근무 형태	47
<표 2-10> 현재 일자리의 근로시간 형태	48
<표 2-11> 현재 일자리의 전반적인 만족도	49
<표 3-1> 8차년도(2024) 설문지 구조 및 응답자 유형별 조사 문항	54
<표 3-2> 8차년도(2024) 조사 내용	55
<표 3-3> 7차년도(2023) 대비 8차년도(2024) 설문 문항 변경 내역	64
<표 3-4> 8차년도(2024) 본조사 진행 일정	67
<표 3-5> 지역별 면접원 구성	69
<표 3-6> 면접원 교육 일정	70
<표 3-7> 면접원 교육 내용 	70
<표 3-8> 면접원 교육의 전반적 설명에 대한 이해 정도	75
<표 3-9> 면접원 교육의 전체적인 만족도	76
<표 3-10> 6월 조사 진행 상황	78
<표 3-11> 7월 조사 진행 상황	79
<표 3-12> 8월 조사 진행 상황	80
<표 3-13> 9월 조사 진행 상황	80
<표 3-14> 10월 조사 진행 상황	81
<표 3-15> 8차년도(2024) 조사 결과	82
<표 3-16> 지역별 8차년도(2024) 조사 결과	83
<표 3-17> 학교 유형별 8차년도(2024) 조사 결과	84
<표 4-1> 종단 데이터 변수명 생성 규칙	91
<표 4-2> 신규 대분류 구분 변수코드(안)	91
<표 4-3>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차수별 설문지 데이터 구성 및 개수	94
<표 4-4> Smart-KEEP 데이터 구성	96
<표 4-5> Smart-KEEP main variable 변수 및 설명	97
<표 5-1> 연도별 원자료 사용 건수	104
<표 5-2> 원자료 다운로드 전공 계획 경로별 건수	105
<표 5-3> 2024년 원자료 사용 건수	106
<표 5-4>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자료 활용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2023~2024)	107
<표 5-5>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 일반논문 목록	115
<표 5-6>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 대학원생 우수논문 목록	116
<표 5-7> KEEP 활용 국내 학술지 논문의 국문 초록 기반 LDA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121
[그림 1-1] 사업 추진 체계	9
[그림 3-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8차년도 조사 참여자를 위한 안내문	68
[그림 3-2] 8차년도 조사(2024) 면접원 교육	73
[그림 3-3] CAPI 조사 시스템 예시	74
[그림 4-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변수 매칭 현황 자료 제작	90
[그림 4-2] Smart-KEEP 데이터 만들기 대화창 예시(1, 2단계)	99
[그림 4-3] Smart-KEEP 데이터 만들기 옵션 대화창 예시(3단계)	100
[그림 5-1] 동향지 THE HRD REVIEW 27권 3호 조사·통계 브리프	110
[그림 5-2] 동향지 THE HRD REVIEW 27권 4호 조사·통계 브리프	110
[그림 5-3]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 논문 공모 및 개최 포스터	112
[그림 5-4]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 초청장	113
[그림 5-5] 2024 KRIVET 패널 학술대회 개최 및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수상	114
[그림 5-6] 토픽 수에 따른 혼란도(perplexity), 응집도(coherence) 변화	119
[그림 5-7] 토픽별 워드클라우드(Word Cloud)	120
[그림 5-8] 토픽별 KEEP 활용 국내 학술지 논문 수	121
[그림 5-9] KEEP 활용 국내 학술지 논문의 대분류 문항별 활용 횟수	122
[그림 5-10] KEEP 활용 국내 학술지 논문의 중분류 문항별 활용 횟수	1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2024) 2024.01.01~202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