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교육전환: 인재양성 아젠다
- 저자
- 윤혜준 송창용 정은진 이수현 김혜정 김승보 김세훈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4-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4.12.31
- 등록일
- 2025.03.05
주제어
인재,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 교육의 미래, 역량, talent, digital transformation, AI, future of education, competence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2장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탐색_11 제1절 AI 발전의 궤적과 현재 14 제2절 AI는 어떤 미래를 만드는가 31 제3절 AI와 인간의 공존 43 제3장 AI와 미래 교육_59 제1절 교육 전환 61 제2절 미래 교육에 관한 논의 70 제3절 AI 시대의 도전: 교육을 둘러싼 긴장과 역설 82 제4장 AI가 가져온 교육 변화의 양상_103 제1절 배경 105 제2절 AI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경험 106 제3절 교육 변화에의 요구와 기대 162 제5장 인재양성 아젠다_187 제1절 아젠다의 맥락 189 제2절 인재양성 아젠다 194 참고문헌_225 부 록_241
본 연구는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교육 전환이라는 주제로 AI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의 역량을 탐색하고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함으로써 인간적인 미래를 위한 인재양성 아젠다를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략)... 본 연구에서는 AI를 포함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기존의 교육 체계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지, 학습자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변화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장기적 목표에 부합하는지에 관한 질문을 토대로 변화하는 미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의 역할과 인재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AI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이 공존하는 현재, 위에서 제기한 질문들을 토대로 인간과 AI가 함께 발전하며 공존할 수 있는 사회적 논의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우리가 AI를 활용하기 위해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인간의 근본적인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AI 시대에 교육이 직면한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반영한다.
<표 2-1> AI 발전의 이정표: 12개의 결정적 순간 18 <표 4-1> 조사 영역 108 <표 4-2> 응답자 특성 114 <표 4-3> 생성형 AI에 익숙한 정도 116 <표 4-4> 생성형 AI에 익숙한 정도(비율) 117 <표 4-5> AI 사용 빈도 118 <표 4-6> AI 서비스 구독 비용 120 <표 4-7> AI 사용 목적별 빈도 121 <표 4-8> 생성형 AI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122 <표 4-9> 생성형 AI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비율) 123 <표 4-10> AI와의 원활한 상호작용 124 <표 4-11> AI의 한계 이해 125 <표 4-12> AI에 대한 친밀감 126 <표 4-13> 새로운 프롬프팅 시도 127 <표 4-14> 첫 번째 프롬프팅 후 재시도 여부 127 <표 4-15> 효과적인 AI 사용법의 중요성 128 <표 4-16> AI 서비스 사용 의도 129 <표 4-17> 생성형 AI에 대한 감정 상태_긍정(복수응답) 131 <표 4-18> 생성형 AI에 대한 감정 상태_부정(복수응답) 131 <표 4-19> 생성형 AI에 대한 긍정적 태도 133 <표 4-20> 생성형 AI에 대한 긍정적 태도(전체 평균) 134 <표 4-21> 생성형 AI에 대한 부정적 태도 135 <표 4-22> 생성형 AI에 대한 부정적 태도(전체 평균) 135 <표 4-23> 생성형 AI에 대한 불안 137 <표 4-24> 생성형 AI의 기술 수용 경향도 139 <표 4-25> 생성형 AI의 윤리 140 <표 4-26> AI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의도 141 <표 4-27> AI의 학업 활용 시 우려 사항(1순위) 142 <표 4-28> AI 전문 스킬(현재 수준) 144 <표 4-29> 데이터 사이언스 스킬(현재 수준) 145 <표 4-30> AI 기초 지식(현재 수준) 145 <표 4-31> 디지털 스킬(현재 수준) 146 <표 4-32> 인지적 역량(현재 수준) 146 <표 4-33> 범용적 역량(현재 수준) 147 <표 4-34> AI의 윤리적 사용과 책임(현재 수준) 147 <표 4-35> AI 전문 스킬 149 <표 4-36> 데이터 사이언스 스킬 150 <표 4-37> AI 기초 지식 150 <표 4-38> 디지털 스킬 151 <표 4-39> 인지적 역량 151 <표 4-40> 범용적 역량 152 <표 4-41> AI의 윤리적 사용과 책임 152 <표 4-42> AI 전문 스킬 154 <표 4-43> 데이터 사이언스 스킬 155 <표 4-44> AI 기초 지식 155 <표 4-45> 디지털 스킬 156 <표 4-46> 인지적 역량 156 <표 4-47> 범용적 역량 157 <표 4-48> AI의 윤리적 사용과 책임 157 <표 4-49> AI 시대 필요 역량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1순위) 159 <표 4-50> 인터뷰 가이드 질문 163 [그림 1-1] Artificial Worldviews 4 [그림 2-1] AI의 진화 17 [그림 2-2] Top 10 specialized skills in AI job postings in the U.S. 24 [그림 2-3] AI skill penetration rate across gender 26 [그림 2-4] Employment of new AI PhDs in the U.S. and Canada 27 [그림 2-5] Percentage point change in opinions about AI by country 29 [그림 2-6] Global opinions on the impact of AI on current jobs 30 [그림 2-7] 자동화 도입에 따른 시나리오 33 [그림 2-8] 2차원 사분면으로 본 사무직 직업들 35 [그림 2-9] 2차원 사분면으로 본 육체노동직 직업들 35 [그림 2-10] 현재 vs. 미래 요구 스킬 38 [그림 2-11] 채용 공고에 나타난 AI 분야의 역량 40 [그림 2-12] Map of the field of Human-Centered AI 49 [그림 2-13] Human-AI coexistence in the labor market 57 [그림 3-1] The Education 4.0 Taxonomy: Example 79 [그림 4-1] 조사 설계 113 [그림 4-2] AI 사용 빈도 119 [그림 4-3] AI 사용 목적별 빈도 121 [그림 4-4] AI를 생각할 때 느끼는 감정(Top 5) 130 [그림 4-5] AI에 대한 태도 132 [그림 4-6]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본인의 현재 수준 144 [그림 4-7]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 개발의 필요성 149 [그림 4-8]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 개발의 가능성 154 [그림 4-9] 역량 개발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1순위) 159 [그림 5-1] Four scenarios for the future of schooling 201 [그림 5-2] Framework of Challenge-Based Learning 21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교육전환: 인재양성 아젠다 | 2024.01.01~2024.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