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경제·사회적 대위기가 국내 고급인재의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효과 연구

저자
장광남 송승원 이수현 최현식 이동임
분류정보
기본연구(2024-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2.31
등록일
2025.03.1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고등교육, 경제·사회 위기, 노동시장 이행, 추적조사, Higher Education, Economic and Social Crisis, Labor Market Transition, Follow-up Study
요 약ⅸ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	
	제3절 연구 방법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주요 개념 정의	
	제2절 선행 연구	
	제3절 소결	
제3장 2022년 코호트 추적조사 결과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조사 결과 	
	제3절 기초분석 결과	
	제4절 소결	
제4장 경제·사회적 대위기가 고급인재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제1절 분석 개요	
	제2절 분석 결과	
	제3절 소결	
제5장 결 론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연구의 한계	
	제2절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  록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이라는 전 세계적 경제·사회적 대위기가 박사급 고급인재의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이행에 있어 박사급 고급인재의 특성을 밝히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또 다른 경제·사회적 위기가 닥쳤을 때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있다. 
<표 1-1> 연구 내용 및 방법	11
<표 3-1> 조사 모집단 분포	30
<표 3-2> 목표 표본 분포	32
<표 3-3> 문항 구성표	35
<표 3-4> 모집단과 표본의 분포	40
<표 3-5> 응답자 특성별 분포	42
<표 3-6> 경험한 일자리 개수	45
<표 3-7> 현재와 학위 취득 시점 고용 상태 동일 여부	46
<표 3-8> 일자리 변화 유형	48
<표 3-9> 박사 학위 취득 후 첫 번째 일자리 종류	49
<표 3-10> 박사학위 취득 후 첫 번째 일자리 획득까지 소요 시간	50
<표 3-11> 박사학위 취득 후 첫 번째 일자리 근속 기간	52
<표 3-12> 박사학위 취득 후 총 근속 기간	53
<표 3-13> 박사후과정 수행 연구실 종류(첫 일자리)	55
<표 3-14> 박사후과정 연간 총 근로소득(첫 일자리)	56
<표 3-15> 박사후과정 인건비 재원(첫 일자리)	58
<표 3-16> 직장 위치수도권 여부(첫 일자리)	59
<표 3-17> 직장 형태(첫 일자리)	60
<표 3-18> 직업 분류(첫 일자리)	61
<표 3-19> 직업 분류(첫 일자리) (계속)	62
<표 3-20> 종사상 지위(첫 일자리)	63
<표 3-21> 고용 형태(첫 일자리)	64
<표 3-22> 연간 총 근로소득(세전) (첫 일자리)	65
<표 3-23> 종사하는 일자리의 바람직한 학력 조건(첫 일자리)	66
<표 3-24> 학위와 직무의 관련성(첫 일자리)	67
<표 3-25> 현재 고용 상태	69
<표 3-26> 박사후과정 수행 연구실 종류(현재 시점)	70
<표 3-27> 박사후과정 연간 총 근로소득(현재 시점)	71
<표 3-28> 박사후과정 인건비 재원(현재 시점)	73
<표 3-29> 직장 위치수도권 여부(현재 시점)	74
<표 3-30> 현재 거주지와 직장 위치 동일 여부(현재 시점)	75
<표 3-31> 직장 위치와 현 거주지가 다른 이유(1순위) (현재 시점)	77
<표 3-32> 직장 형태(현재 시점)	78
<표 3-33> 직업 분류(현재 시점)	80
<표 3-34> 직업 분류(계속) (현재 시점)	81
<표 3-35> 종사상 지위(현재 시점)	82
<표 3-36> 고용 형태(현재 시점)	83
<표 3-37> 연간 총 근로소득(세전) (현재 시점)	85
<표 3-38> 종사하는 일자리의 바람직한 학력 조건(현재 시점)	86
<표 3-39> 학위와 직무의 관련성(현재 시점)	87
<표 3-40> 코로나-19로 경험한 일	89
<표 3-41> 코로나-19로 경험한 일 (계속)	90
<표 4-1> 데이터 정제	102
<표 4-2> 원 표본과 데이터 정제 후 표본 비교	102
<표 4-3> 경제활동 악화 상태 식별	105
<표 4-4> 노동시장 이행성과 변수	107
<표 4-5> 주요 통제 변수	108
<표 4-6> 응답자 특성별 분포	112
<표 4-7> 주요 변수 기초통계량	114
<표 4-8> 응답자 특성별 첫 일자리 획득까지 소요 시간	116
<표 4-9> 학위취득 이후 첫 일자리 획득 발생에 대한 이산위험모형 분석 결과	119
<표 4-10> COVID-19 대유행이 첫 일자리 획득까지 소요 시간에 미친 효과	122
<표 4-11> 응답자 특성별 취업상태에 있던 기간	123
<표 4-12> COVID-19 대유행이 취업 상태에 있던 기간에 미친 효과	125
<표 4-13> 학위취득 직후 첫 일자리 고용 상태 비교	127
<표 4-14> 고용 상태 변동 시 현시점 일자리의 고용 상태 비교	129
<표 4-15> 불완전 고용 	130
<표 4-16> 학위취득 직후 수직적 미스매치 상태	132
<표 4-17> 학위취득 직후 수평적 미스매치 상태	132
<표 4-18> 고용 상태 변동 시 수직적 미스매치 상태	134
<표 4-19> 고용 상태 변동 시 수평적 미스매치 상태	134
<표 4-20> COVID-19 대유행이 첫 일자리 수직적 미스매치에 미친 효과	136
<표 4-21> COVID-19 대유행이 첫 일자리 수평적 미스매치에 미친 효과	137
<표 4-22> COVID-19 위기가 첫 일자리 연 근로소득 및 근로소득 증가에 미친 효과	138
<부표 1> 학위 효과	158
<부표 2> 학위취득 시점 역량	160
<부표 3> 현재 시점 역량 중요도	162
<부표 4> 직장 위치17개 시도(첫 일자리)	164
<부표 5> (민간기업 및 연구소) 직장 규모(첫 일자리)	166
<부표 6> 직업 분류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세부 직종(첫 일자리)	167
<부표 7> 종사하는 일자리의 최소 학력 조건(첫 일자리)	168
<부표 8> 구직 희망 직장 유형(학위 취득 후 취업 경험자)	169
<부표 9> 구직 무계획 이유(학위취득 후 취업 경험자)	170
<부표 10> 직장 위치17개 시도(현재 시점)	171
<부표 11> (민간기업 및 연구소) 직장 규모(현재 시점)	173
<부표 12> 직업 분류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세부 직종(현재 시점)	174
<부표 13> 종사하는 일자리의 최소 학력 조건(현재 시점)	175
[그림 1-1] 국가 경쟁력 지수(IMD, 2022)	4
[그림 1-2] 연구의 시간적 범위	8
[그림 3-1] 조사 응답 첫 화면	33
[그림 4-1] 2018년, 2022년 코호트 박사 졸업 및 추적조사 시기	99
[그림 4-2] 2018년, 2022년 코호트 분석 대상 기간 조정	101
[그림 4-3] 코호트별 학위취득 후 첫 일자리 획득 시기: 비진입비율	117
[그림 4-4] 코호트별 평활화 위험함수(smoothed hazard function)	120
[그림 4-5] 코호트별 생존함수(survival function)	12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경제·사회적 대위기가 국내 고급인재의 노동시장 이행에 미친 효과 연구 2024.01.01~202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