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4)
- 저자
- 송창용 송승원 장광남 최현식 김혜정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24-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4.12.31
- 등록일
- 2025.03.14
주제어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핵심역량, 역량 기반, 고등교육, 교육과정, K-CESA,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essential competency,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curriculum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K-CESA 진단 사업 체계 7 제2장 2024년 K-CESA 주요 사업 내용_19 제1절 2024년 K-CESA 세부 사업 내용 21 제2절 2024년 K-CESA 진단 참여대학과 학생 현황 29 제3장 제7판형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신규문항 개발_35 제1절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신규문항 개발 목적 및 필요성 37 제2절 신규문항 개발 방법 52 제3절 신규문항 개발 결과 66 제4절 소결 108 제4장 K-CESA 시스템 유지 운영_115 제1절 K-CESA 시스템 유지 관리 117 제2절 K-CESA 시스템 정보 보안 121 제3절 K-CESA 시스템 기능 개선 126 제4절 소결 129 제5장 K-CESA 진단도구 개발 및 진단 결과 활용 이력 정리_131 제1절 K-CESA 진단도구 개발 이력(2010~2024) 133 제2절 핵심역량 관련 데이터 분석 이력 145 제3절 K-CESA 진단 결과 활용 사례 이력 152 제4절 향후 계획 155 참고문헌_158 부록_163 제1절 2024년도 K-CESA 핵심역량 수준 165 제2절 K-CESA 진단 참여학생 유형별 역량 수준 206 제3절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신규문항 규준표 282
본 사업의 주요 목적은 K-CESA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음. 이를 통해 대학들이 지속적으로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대학교육에 반영하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온라인 진단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진단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 또한 문항 개발을 통해 문제은행을 구축하고, 그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있음. 이러한 문제은행은 핵심역량 진단의 품질을 보장하며,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문항을 제공함으로써 진단 결과의 신뢰성을 높임. ○ 또한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진단 결과와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대학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우수인재를 양성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함. 이를 통해 대학들은 학생들에게 보다 경쟁력 있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표 2-1> K-CESA 사후설명회 진행 현황 28 <표 2-2> K-CESA 진단 참여대학 현황 30 <표 2-3> K-CESA 진단 참여학생 현황 32 <표 3-1> K-CESA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수행 과제 40 <표 3-2> 미국 구직 사이트 Indeed에서 발표한 상위 10개 고연봉 기술 45 <표 3-3> 향후 5년 내 기업에서 도입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WEF, 2023) 46 <표 3-4> UNESCO의 학생을 위한 AI 역량 프레임워크(UNESCO, 2024) 47 <표 3-5> DQ에서 제시하는 AI 리터러시 학습 프레임워크 48 <표 3-6>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술 관련 주요 내용 50 <표 3-7> K-CESA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검사(7판) 개발 사업 절차 52 <표 3-8> 전문가 협의회 패널 구성 54 <표 3-9> 측정평가 전문가 협의회 주요 내용 56 <표 3-10> 내용타당도 평정 전문가 구성 60 <표 3-11> 전문가 내용타당도 조사 양식 61 <표 3-12>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7판) 분석 대상 62 <표 3-13> 문항 변별도 해석 기준 63 <표 3-14> K-CESA 백분위 기준에 따른 성취 등급 65 <표 3-15> AI 기술 활용 분야 관련 언급 내용 66 <표 3-16> 도메인 지식 관련 언급 내용 68 <표 3-17> 윤리적 책임감 관련 언급 내용 69 <표 3-18> 통계 및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관련 언급 내용 70 <표 3-19> AI와의 협업 및 프롬프팅 능력 관련 언급 내용 71 <표 3-20> AI 교육 관련 언급 내용 72 <표 3-21> 내용 요소 및 수행 요소에 관한 언급 내용 78 <표 3-22> 과학원리 적용기술 영역 관련 언급 내용 79 <표 3-23> 문항 유형 개선에 관한 언급 내용 80 <표 3-24> 문항 소재 개선에 관한 언급 내용 81 <표 3-25> 준거지향 평가로의 전환 관련 언급 내용 82 <표 3-26> 피드백 제공 관련 언급 내용 83 <표 3-27> 종단 비교 관련 언급 내용 84 <표 3-28> 수행형 문항 관련 언급 내용 85 <표 3-29> 문제은행 도입과 관련 언급 내용 86 <표 3-30> 자원 영역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정 결과 89 <표 3-31> 정보 영역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정 결과 90 <표 3-32> 기술 영역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정 결과 91 <표 3-33>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수정·보완한 문항 예시 92 <표 3-34> 예비조사 선다형 문항 전체 기술통계(N=101) 93 <표 3-35> 선다형 검사 하위 영역별 검사 신뢰도 95 <표 3-36> 선다형 검사 문항 제거 시 신뢰도 96 <표 3-37> 선다형 검사 문항별 답지반응분포 및 문항 난이도, 변별도(N=101) 97 <표 3-38>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7판) 예비조사 문항 선별 결과 및 제외 사유 99 <표 3-39>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7판) 본조사 최종 문항 100 <표 3-40> 본조사 선다형 문항 전체 기술통계(N=101) 101 <표 3-41> 본조사 하위 영역별 검사 신뢰도 103 <표 3-42> 본조사 문항별 답지반응분포 및 문항 난이도, 변별도(N=101) 103 <표 3-4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모형의 적합도 지수 106 <표 3-44> 본조사 문항 요인계수 106 <표 4-1> K-CESA 개인정보 유형 및 종류 125 <표 4-2> K-CESA 음성 녹음 기능 적용 기술 127 <표 5-1> K-CESA 핵심역량 영역별 역량 프로그램 운영 영향 결과 148 <표 5-2> K-CESA 핵심역량 영역별 현재 수준 및 활용 수준 인식 결과 149 <표 5-3> K-CESA 향후 운영 계획(수탁과제를 통해 운영 예정) 155 <표 6-1> 핵심역량별 K-CESA 점수 168 <표 6-2> 자기관리 역량 점수(전체) 171 <표 6-3> 자기관리 역량 점수(수도권) 172 <표 6-4> 자기관리 역량 점수(비수도권) 173 <표 6-5> 대인관계 역량 점수(전체) 177 <표 6-6> 대인관계 역량 점수(수도권) 178 <표 6-7> 대인관계 역량 점수(비수도권) 179 <표 6-8>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전체) 183 <표 6-9>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수도권) 184 <표 6-10>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비수도권) 185 <표 6-11> 글로벌 역량 점수(전체) 189 <표 6-12> 글로벌 역량 점수(수도권) 190 <표 6-13> 글로벌 역량 점수(비수도권) 191 <표 6-14> 의사소통 역량 점수(전체) 195 <표 6-15> 의사소통 역량 점수(수도권) 196 <표 6-16> 의사소통 역량 점수(비수도권) 197 <표 6-17> 종합적사고력 점수(전체) 201 <표 6-18> 종합적사고력 점수(수도권) 202 <표 6-19> 종합적사고력 점수(비수도권) 203 <표 6-20> 출신 고등학교 유형 207 <표 6-21>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K-CESA 점수 207 <표 6-22>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11 <표 6-23>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12 <표 6-24>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13 <표 6-25>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글로벌 역량 점수 214 <표 6-26>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15 <표 6-27>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16 <표 6-28> 입학 전형 방법 217 <표 6-29> 입학 전형 방법별 K-CESA 점수 218 <표 6-30> 입학 전형 방법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21 <표 6-31> 입학 전형 방법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22 <표 6-32> 입학 전형 방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23 <표 6-33> 입학 전형 방법별 글로벌 역량 점수 224 <표 6-34> 입학 전형 방법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25 <표 6-35> 입학 전형 방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26 <표 6-36> 진로 계획 227 <표 6-37> 진로 계획별 K-CESA 점수 228 <표 6-38> 진로 계획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31 <표 6-39> 진로 계획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32 <표 6-40> 진로 계획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33 <표 6-41> 진로 계획별 글로벌 역량 점수 234 <표 6-42> 진로 계획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35 <표 6-43> 진로 계획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36 <표 6-44> 학점 평균 237 <표 6-45> 학점별 K-CESA 점수 238 <표 6-46> 학점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41 <표 6-47> 학점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42 <표 6-48> 학점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43 <표 6-49> 학점별 글로벌 역량 점수 244 <표 6-50> 학점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45 <표 6-51> 학점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46 <표 6-52> 가정 경제 사정 248 <표 6-53> 가정 경제 사정별 K-CESA 점수 248 <표 6-54> 가정 경제 사정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51 <표 6-55> 가정 경제 사정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52 <표 6-56> 가정 경제 사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53 <표 6-57> 가정 경제 사정별 글로벌 역량 점수 254 <표 6-58> 가정 경제 사정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55 <표 6-59> 가정 경제 사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56 <표 6-60> 학비 조달 방법 257 <표 6-61> 학비 조달 방법별 K-CESA 점수 258 <표 6-62> 학비 조달 방법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61 <표 6-63> 학비 조달 방법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62 <표 6-64> 학비 조달 방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63 <표 6-65> 학비 조달 방법별 글로벌 역량 점수 264 <표 6-66> 학비 조달 방법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65 <표 6-67> 학비 조달 방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66 <표 6-68>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 268 <표 6-69>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K-CESA 점수 268 <표 6-70> 자기관리 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자기관리 역량 점수 270 <표 6-71> 대인관계 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대인관계 역량 점수 272 <표 6-72>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74 <표 6-73> 글로벌 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글로벌 역량 점수 276 <표 6-74> 의사소통 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의사소통 역량 점수 278 <표 6-75> 종합적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80 <표 6-76> 자원 영역 규준표 282 <표 6-77> 정보 영역 규준표 283 <표 6-78> 기술 영역 규준표 283 <표 6-79> 총점 규준표 284 [그림 1-1] K-CESA 사업 추진 체계 11 [그림 1-2] K-CESA 시스템 구성도 17 [그림 2-1] K-CESA 진단 현황 33 [그림 3-1]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디지털 및 AI 기술 교육 방향 50 [그림 3-2]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개발 현장전문가 설문조사 내용 57 [그림 3-3] AI의 기본원리 관련 문항 샘플 74 [그림 3-4] AI 활용 관련 문항 샘플 76 [그림 3-5] AI 윤리 관련 문항 샘플 77 [그림 3-6] K-CESA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요인모형(7판) 105 [그림 4-1] K-CESA 시스템 장애 발생 대책 119 [그림 4-2] K-CESA 음성 녹음 기능 개발 내용 127 [그림 4-3] K-CESA 말하기 녹음 과정 128 [그림 4-4] K-CESA 말하기 녹음 화면 128 [그림 6-1] 자기관리 역량 점수(2024) 174 [그림 6-2] 대인관계 역량 점수(2024) 180 [그림 6-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2024) 186 [그림 6-4] 글로벌 역량 점수(2024) 192 [그림 6-5] 의사소통 역량 점수(2024) 198 [그림 6-6] 종합적사고력 점수(2024) 20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4) | 2024.01.01~2024.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