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 현황 및 과제
Task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NCS Learning Module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김경인 김미재 고요한 홍은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4-1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4.12.31
- 등록일
- 2025.03.14
요약xi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NCS 학습모듈 선행연구 분석 제1절 NCS 학습모듈 개념 및 체계 제2절 NCS 학습모듈 개발 과정 제3절 NCS 학습모듈 활용 제4절 NCS 학습모듈에 관한 주요 이슈 제3장 NCS 학습모듈 사용자 설문조사 제1절 설문조사 설계 제2절 교사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제3절 학생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제4절 소결 제4장 NCS 학습모듈 사용자 FGI 조사 제1절 NCS 학습모듈 사용자 FGI 개요 제2절 교사 대상 FGI 결과 제3절 학생 대상 FGI 결과 제4절 소결 제5장 NCS 학습모듈 활용 수업 사례 조사 제1절 NCS 학습모듈 활용 수업 사례 조사 제2절 소결 제6장 NCS 학습모듈 관련 정책 전문가협의회 제1절 NCS 학습모듈 관련 정책 전문가협의회 제2절 소결 제7장 결론 및 논의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제언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안 Summary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설문조사지(교사용) [부록 2] 설문조사지(학생용) [부록 3] FGI 질문지(교사용) [부록 4] FGI 질문지(학생용) [부록 5] 수업 관찰 기록지 [부록 6] 수업사례별 교수학습 운영계획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교육・훈련 현장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 실태를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NCS 학습모듈의 과제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학습모듈 사용자(교사 및 학생)의 인식과 경험을 다양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그 활용 현황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 NCS 학습모듈 활용도 제고 측면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와 정책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직업계고에서 NCS 학습모듈의 원활한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이러한 전략들을 기반으로 학교에서 산업과 연계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refer to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ach job. NCS Learning Modules, developed based on the NCS, are educational materials designed to help learners stud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ent across various industrial secto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eachers and students make good use of the NCS Learning Modules, which focus on developing competencies of learner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industrial settings. At the same time, challenge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in the utiliz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at vocational high schools continue to be raised.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use of NCS Learning Modules in vocational high school settings, and to identify the challeng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NCS Learning Modules based on the finding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NCS Learning Module users,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NCS learning module utilization. Second, we analyzed the results to propos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identified areas requiring policy support.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re used for this study. The study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n NCS Learning Modules. Then,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ere conducted with the main users of NCS Learning Modules—teachers and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NCS Learning Module utilization and to gather opinions on associated challenges. Through case studies, successful applications of NCS Learning Modules in school classes were analyzed. A policy experts' council was convened to formulate policy measures and explore potential strategies for improving NCS Learning Modules. Lastly, an open seminar was organized to share the findings with stakeholders and discuss policy implications. We synthesized all the findings to present in this report how NCS Learning Modules are being utiliz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identify areas requiring improvement. This study presents both short-term and long-term strategies focused o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NCS Learning Module utiliz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We hope that this study can be help to develop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enabling schools to effectively implement industry-linked education based on these strategies.
<표 1-1> 설문조사 표본 추출 결과 10 <표 1-2> FGI 실시 일정 11 <표 1-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5 <표 2-1> NCS 능력단위 구성 항목 21 <표 2-2> 2015년, 2016년 NCS 및 NCS 학습모듈 개발 추진 체계 27 <표 2-3> 연도별 추진 체계 30 <표 2-4> 2024년 NCS 학습모듈 사업 주요 개선 사항 31 <표 2-5> 2015년, 2016년 NCS 학습모듈 개발 추진 단계 32 <표 2-6> NCS 학습모듈 사업 추진 절차 35 <표 2-7> 연도별 NCS 학습모듈 개발·개선 분야 선정 기준 38 <표 2-8> 2018년, 2019년 NCS 학습모듈 개발진 자격 요건 41 <표 2-9> NCS 학습모듈 개발진 구성, 자격 요건, 역할 등 변경 사항(2018~2023년) 43 <표 2-10> 2024년 NCS 학습모듈 개발진 구성 항목 변경 사항 44 <표 2-11> 2024년 NCS 학습모듈 검토진 자격 요건 변경 사항 45 <표 2-12> 2024년 NCS 학습모듈 개발진 주요 역할 변경 사항 45 <표 2-13> 연도별 NCS 학습모듈 집필진 구성 46 <표 2-14> 연도별 NCS 학습모듈 검토진 구성 47 <표 2-15> NCS 학습모듈 질 관리 주요 주체 50 <표 3-1> 교사 응답자의 특성 64 <표 3-2> 학생 응답자의 특성 67 <표 3-3> 교사용 설문 문항 개요 69 <표 3-4> 학생용 설문 문항 개요 71 <표 3-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및 NCS 학습모듈 인식도 72 <표 3-6> 담당 교과에 대한 NCS와 NCS 학습모듈 연계의 적절성 72 <표 3-7> 교사가 인식하는 NCS 학습모듈의 전반적인 학습 난이도 73 <표 3-8> 교사가 인식하는 NCS 학습모듈 범위의 전반적인 적절성 73 <표 3-9> 수업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도 74 <표 3-10> 수업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 범위 74 <표 3-11> 주 교재로 활용 시 교과서의 활용 방법 75 <표 3-12> 보조교재와 참고자료로의 활용 이유(중복 응답) 76 <표 3-13> 실무과목 교과서 제책 방식 77 <표 3-14> NCS 학습모듈 학습 방법 77 <표 3-15> NCS 학습모듈 구성 체계의 적절성 78 <표 3-16> NCS 학습모듈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하는 부분 78 <표 3-17> NCS 학습모듈 구성요소 활용 및 참고 정도 79 <표 3-18> 학교 내 보유 장비와 시설에 따른 실습 수행 정도 79 <표 3-19> NCS 학습모듈의 수업 운영과 자격증 취득 및 학습에 관한 전반적인 도움 정도 80 <표 3-20> NCS 학습모듈의 수업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도움 정도 81 <표 3-21> NCS 학습모듈의 자격증 관련 도움 정도 82 <표 3-22> NCS 학습모듈의 자격증 연계 정도 83 <표 3-23> NCS 학습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83 <표 3-24> NCS 학습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담당 교과별, 계열별) 84 <표 3-25> NCS 학습모듈에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자료(중복 응답) 86 <표 3-26> NCS 학습모듈 개선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분야(중복 응답) 87 <표 3-27> NCS 학습모듈 개발·개선 사항 필요성 88 <표 3-28> NCS 학습모듈에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제공 필요성 88 <표 3-29> NCS 학습모듈의 콘텐츠 제공 방식 89 <표 3-30> NCS 학습모듈 관련 정책 지원 사항의 현재 수준 90 <표 3-31> NCS 학습모듈 관련 정책 지원 사항 필요성 91 <표 3-32> NCS 학습모듈 관련 의견 제시 창구 92 <표 3-33> 직업계고를 위한 NCS 학습모듈 관련 독립적 플랫폼의 필요성 92 <표 3-34>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및 NCS 학습모듈 인식도 93 <표 3-35> 수업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 정도 94 <표 3-36> NCS 학습모듈 구성 체계의 적절성 94 <표 3-37> NCS 학습모듈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하는 부분 95 <표 3-38> NCS 학습모듈의 구성 요소의 수업 이해 및 학습에 관한 적절성 95 <표 3-39> 학교 내 보유 장비와 시설에 따른 실습 수행 정도 96 <표 3-40> NCS 학습모듈의 수업 이해, 학습, 자격 및 자격 취득 학습에서의 도움 정도 96 <표 3-41> NCS 학습모듈의 수업 이해 및 학습에 관한 전반적인 도움 정도 97 <표 3-42> NCS 학습모듈의 자격증 취득 또는 취득 학습에서의 도움 정도 98 <표 3-43> 학생이 인식하는 NCS 학습모듈의 전반적인 수준 99 <표 3-44> 학생이 인식하는 NCS 학습모듈의 범위 정도 99 <표 3-45> NCS 학습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99 <표 3-46> NCS 학습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담당 교과별, 계열별) 100 <표 3-47> NCS 학습모듈에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자료(중복 응답) 102 <표 3-48> NCS 학습모듈 개발·개선 사항 필요성 103 <표 3-49> NCS 학습모듈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 필요성 103 <표 3-50> NCS 학습모듈 콘텐츠 제공 중점 분야 104 <표 3-51> 직업계고를 위한 NCS 학습모듈 관련 독립적 플랫폼의 필요성 104 <표 3-52> 교사와 학생 공통문항 응답 비교 107 <표 4-1> 교사 FGI 대상자 특성 115 <표 4-2> 재학생 FGI 대상자 특성 117 <표 4-3> 졸업생 FGI 대상자 특성 117 <표 4-4> 교사 FGI 결과 종합 180 <표 4-5> 학생 FGI 결과 종합 183 <표 5-1> 평가 목표 및 평가 방침 189 <표 5-2> 수업지도안 192 <표 5-3> 평가 내용 195 <표 5-4> 성취기준 196 <표 5-5> 성취수준 197 <표 5-6> 수업 참관 기록 198 <표 5-7> 평가 목표 및 평가 방침 204 <표 5-8> 수업지도안 208 <표 5-9> 평가 내용 210 <표 5-10> 성취기준 211 <표 5-11> 성취수준 211 <표 5-12> 수업 참관 기록 213 <표 7-1> 연구 결과 종합 246 <표 7-2> 정책 제언 253 [그림 2-1] NCS 구성 체계 20 [그림 2-2] NCS, NCS 기반 학습모듈, 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연계도 22 [그림 2-3] 능력단위와 학습모듈 연결 체계 23 [그림 3-1] NCS 학습모듈 정책 지원 현재 수준과 필요성 9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 현황 및 과제 | 2024.05.01~2024.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