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첨단분야 인재 확보를 위한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활용 현황과 과제

Korea’s Attraction and Utilization of Highly Educated Foreign Workforces for Securing Talent in Advanced Technology Field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저자
송승원 송창용 장광남 손정은
분류정보
기본연구(2024-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2.31
등록일
2025.03.14
요 약_ⅹⅰ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용어 정의	12
	제4절 외국인 고급 인력 관련 국내 정책 동향 및 선행연구 분석	16
제2장 국내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 유치 현황	41
	제1절 분석 개요	43
	제2절 국내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 추이	45
	제3절 국내 대학원 학업 중단 외국인 유학생 추이	65
	제4절 소결	75
제3장 외국인 국내 박사 양성 현황	79
	제1절 분석 배경과 필요성	81	
	제2절 외국인 유학생 졸업자 추이	83
	제3절 외국인 국내 박사 양성 및 노동시장 이행 분석	91
	제4절 소결	119
제4장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실태	123
	제1절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개요	125
	제2절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결과	138
	제3절 소결	157
제5장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실태	161
	제1절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조사 개요	163
	제2절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조사 결과	174
	제3절 소결	191
제6장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 채용 실태	197
	제1절 FGI 조사 개요	200
	제2절 FGI 조사 결과	203
	제3절 소결	216
제7장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활용을 위한 과제	221
	제1절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활용을 위한 과제 도출	223
	제2절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활용을 위한 세부 과제	233
SUMMARY_249
참고문헌_259
부  록_267
	<부록 1> 국내 대학원 유학생 수 추이 분석표	269
	<부록 2> 조사 설문지	293	
	<부록 3> 조사 결과표	313
...이상의 대내외적 여건을 고려할 때, 국내 석박사급 외국인 고급 인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이공계 국내 석박사 외국인의 한국 사회 내 유치, 양성 및 활용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인 고급 인력의 유치, 양성 및 활용 현황을 이공계열 중심으로 검토하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인재 확보를 위한 과제를 모색하였다.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drive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ushered in an era of technology hegemony. In this context, concerns about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s economic growth are growing due to a declining birth rate and shrinking population. However,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pursuing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continues to rise. Notably, the number of foreign Ph.D. students has doubled over the past five years since 2018,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0% of all international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 2023. This trend highlights the urgent need to attract and develop these highly educated talent, ensuring their employment and long-term social integration. This need form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This research review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attracting, nurturing, and utilizing highly educated foreign talent, with a focus on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fields, to develop initiatives for long-term talent retention.
...
<표 1-1> 국내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개요	9
<표 1-2> 국내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조사 개요	10
<표 1-3> FGI 개요	11
<표 1-4> 첨단분야 영역 및 세부 기술	14
<표 1-5>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 내 외국인 고급 인력 관련 주요 과제 	18
<표 1-6>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 및 활용 정책 	23
<표 1-7>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 양성 및 활용 주요 사업 현황(2024년 기준)	26
<표 1-8> 외국인 고급 인력 정착 주요 사업 현황(2024년 기준)	29
<표 1-9>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 양성, 활용 관련 선행연구	35
<표 1-10> 외국인 고급 인력 정착 관련 선행연구	39
<표 2-1> 2장 주요 결과 요약  	77
<표 3-1> 학위 과정별 외국인 졸업생 수 변화	84
<표 3-2> 여성 외국인 졸업생 수 및 비율 변화	86
<표 3-3> 외국인 졸업생 전공계열별 분포(상: 학부, 하: 박사)	88
<표 3-4> 외국인 졸업생의 학교 소재지 분포	90
<표 3-5> 박사조사 설문 주요 내용	92
<표 3-6> 주요 개인 특성 변수 설명	94
<표 3-7> 응답자 인적 구성	96
<표 3-8> 외국인 응답자 비율 변화	97
<표 3-9> 전공계열별 외국인 응답자 비율 변화	98
<표 3-10> 국적별 외국인 응답자 인적 구성	100
<표 3-11>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응답자 인적 구성	101
<표 3-12> 성별, 지역별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외국인 응답자 비율 변화	102
<표 3-13> 학비 조달 방법과 비율(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104
<표 3-14> 박사과정 중 학술지 게재 논문 수(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105
<표 3-15> 박사과정 중 연구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106
<표 3-16> 노동시장 이행 분석 대상	107
<표 3-17>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학업전념 박사 인적 구성	108
<표 3-18> 국내 취업자의 취업 상태별 비율 	109
<표 3-19> 연도별 외국인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학업전념 박사의 국내 취업 비율	109
<표 3-20> 개인 특성에 따른 취업자 수 및 비율 비교(2017~2023)	111
<표 3-21> 국적별·전공계열별 학업전념 박사의 연 근로소득 분포	113
<표 3-22> 국적별·전공계열별 학업전념 박사의 업무와 전공 관련성	115
<표 3-23> 박사 취득 이후 거주 계획	116
<표 3-24> 국내 취업자 직장 소재지(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117
<표 3-25> 대학원 소재지와 직장 소재지 비교(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118
<표 3-26> 3장 주요 결과 요약	121
<표 4-1>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설문 문항 구성표	133
<표 4-2>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응답자 주요 특성	140
<표 4-3> 재학생 첨단연구 분야 상위 10개(중복응답)	142
<표 4-4> 취업 희망 첨단분야 상위 10개(중복응답)	153
<표 4-5> 4장 주요 결과 요약	160
<표 5-1> 국내 R&D분야 외국인 재직자 조사 설문 문항 구성표	170
<표 5-2> 국내 R&D분야 외국인 재직자 조사 응답자 주요 특성	175
<표 5-3> 재직자 최종 학위 상위 10개 첨단분야(중복응답)	178
<표 5-4> 재직자 현재 직무 상위 10개 첨단분야(중복응답)	179
<표 5-5> 5장 주요 결과 요약	194
<표 6-1> 연구 참여자	200
<표 6-2> 조사 항목 및 질문지	201
<표 6-3> 6장 주요 결과 요약	220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8
[그림 2-1] 고등교육 외국인 재적생 변화(명)	46
[그림 2-2] 전체 대학원 재적생 중 외국인 비율 추이(%)	47
[그림 2-3] 고등교육 외국인 입학생 변화(명)	48
[그림 2-4] 대학원 외국인 재적생 수_성별(명)	49
[그림 2-5] 연령별 대학원 외국인 입학생(명)	50
[그림 2-6] 계열별 대학원 외국인 재적생(명)	53
[그림 2-7] 계열별 대학원 외국인 입학생(명)	54
[그림 2-8] 국가별 외국인 재적생 수 변화(‘14~’23)_석사	55
[그림 2-9] 국가별 외국인 재적생 수 변화(‘14~’23)_석박사통합	56
[그림 2-10] 국가별 외국인 재적생 수 변화(‘14~’23)_박사	57
[그림 2-11] 대학원 외국인 재적생 수_석사*지역(명)	58
[그림 2-12] 대학원 외국인 재적생 수_석박사통합/박사*지역(명)	60
[그림 2-13] 학교 유형별 대학원 외국인 재적생 수(명)	61
[그림 2-14] 학교 유형별 외국인 입학생 수_석박통합 & 박사(명)	62
[그림 2-15] 대학원 유형별 외국인 재적생 수_석사(명)	63
[그림 2-16] 대학원 유형별 외국인 재적/입학생_석박통합 & 박사(명)	64
[그림 2-17] 고등교육 외국인 제적생 수(명)	66
[그림 2-18] 대학원 외국인 제적생 수_성별(명)	67
[그림 2-19] 연령별 대학원 외국인 제적생(명)	68
[그림 2-20] 계열별 대학원 외국인 제적생(명)	70
[그림 2-21] 대학원 외국인 제적생 수_지역별(명)	72
[그림 2-22] 학교 유형별 대학원 외국인 제적생 수(명)	73
[그림 2-23] 대학원 유형별 외국인 제적생 수(명)	74
[그림 3-1] 학위 과정별 외국인 졸업생 수 변화	85
[그림 3-2] 학위 과정별 여성 외국인 졸업생 비율 변화	87
[그림 3-3] 외국인 박사 졸업생 전공계열별 분포	89
[그림 3-4] 수도권 소재 학교를 졸업한 외국인 유학생의 비율 변화	91
[그림 3-5] 외국인 응답자 비율 변화	98
[그림 3-6] 전공계열별 외국인 응답자 비율 변화	99
[그림 3-7] 성별, 지역별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외국인 응답자 비율 변화	102
[그림 3-8] 외국인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학업전념 박사의 국내 취업 비율 변화	110
[그림 3-9] 국내 취업 이공계열 및 의약계열 박사의 취업상태별 연 근로소득 분포	114
[그림 4-1]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안내문(한국어, 영어)	130
[그림 4-2]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웹페이지 화면	131
[그림 4-3] 첨단분야 외국인 이공계 대학원생(%)	141
[그림 4-4] 한국 대학원 유학 결정 시기(%)	143
[그림 4-5] 한국 대학원 선택 이유(학업 및 연구)(%)	144
[그림 4-6] 한국 대학원 선택 이유(유학 생활)(%)	145
[그림 4-7] 한국 유학 정보 획득 경로(%)	146
[그림 4-8] 초기 정착 지원 관련 경험(%)	147
[그림 4-9] 학비 조달(%)	148
[그림 4-10] 생활비 조달(%)	148
[그림 4-11] 연구 성과(편 수)	149
[그림 4-12] 대학원 유학 생활 만족도(%)	150
[그림 4-13] 졸업 후 계획(%)	151
[그림 4-14] 취업 희망 분야(%, 중복응답)	153
[그림 4-15] 외국인 대학원생 정주 여건 개선과 기대(%)	155
[그림 4-16] 노동시장 진출 효과 정책(%)	156
[그림 5-1]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조사 웹페이지 화면	168
[그림 5-2] 외국인 재직자의 첨단분야 해당 비율(%)	177
[그림 5-3] 한국 취업 결심 시점(%)	180
[그림 5-4] 한국에 취업한 주요 이유(직장)(%)	181
[그림 5-5] 한국에 취업한 주요 이유(생활)(%)	181
[그림 5-6] 한국 취업을 위한 교내외 활동(%)	182
[그림 5-7] 한국 취업 정보 획득 경로(%)	183
[그림 5-8] 구직 과정 어려움(%)	184
[그림 5-9] 전공 일치도(%)	185
[그림 5-10] 직장 만족도(%)	186
[그림 5-11] 직장 내 외국인 차별 경험(%)	187
[그림 5-12] 직장 생활 어려움(%)	187
[그림 5-13] 한국 직장 생활 중단 이유(%)	189
[그림 5-14] 국내 정주 여건 변화와 기대(%)	190
[그림 5-15] 노동시장 진출 관련 정책 인식(%)	191
[그림 7-1] 정책 과제	227
[그림 7-2] 정책 세부 과제(예시)	234
[그림 7-3] 추진 시기별 정책 과제 구분(예시)	24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첨단분야 인재 확보를 위한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활용 현황과 과제 2024.05.01~202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