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Outcomes of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저자
유한구 김영식 문찬주 홍선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24-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0.31
등록일
2025.03.31
주제어
진로교육 및 체험, 진로교육 효과, 진로성숙도, 학업적 성과, CareerEducation and Experience, Career Education Effectiveness, CareerMaturity, Academic Performance
요약_vii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9
	제4절 연구의 범위	13
제2장  선행연구 및 정책 분석_15
	제1절 진로교육 및 체험의 성과 연구 동향	17
	제2절 진로교육 및 체험의 정책 동향	30
	제3절 OECD Career Rediness의 구인 구성	43
	제4절 학업성과 분석을 위한 구인 구성	49
제3장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_63
	제1절 초·중등 교육 단계의 학업적 성과	65
	제2절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	94
	제3절 고등교육 단계의 학업적 성과	106
	제4절 노동시장 진출 이후의 역량 형성	123
	제5절 소결	141
제4장  효과적 진로교육 및 체험을 위한 정책 제언_147
	제1절 FGI 조사	149
	제2절 정책 방안	158
제5장  요약 및 결론_165
	제1절 요약	167
	제2절 결론	175
SUMMARY_179
참고문헌_189
부 록_195
	1. 실증 분석 통계 자료	197
	2. FGI 결과 보고서	201
이 연구는 초·중등 단계에서 진로교육 및 체험과 학업적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학업적 성과를 분석하여, 진로교육 성과의 확산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핵심 과제 및 정책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의 학업적 성과에 대한 개념적 정의이다. 일반적으로 학업적 성과는 학업성취도에 한정해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 학업성과는 인지적 측면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에서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등의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진로교육의 학업적 성과에 대한 개념과 사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교육 및 체험과 학생의 학업적 성과 간의 관계 검증 및 관계 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한다. 진로교육 및 체험이 실제로 학업성과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검증한다.
셋째,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의 확산이다. 중등교육 단계에서 경험한 진로교육과 체험은 진로역량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진로역량은 대학 진학이나 노동시장 진입 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등 학교교육 단계에서의 진로교육과 체험이 이후 고등교육과 성인기에까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넷째, 초·중등 진로교육의 성과 확산을 위한 핵심 과제 및 정책 방안의 도출이다.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 모형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및 체험의 정책적 방안을 도출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analyze academic performance, and derive key tasks and policy measures necessary to spread the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and improve its effectiveness. The specifics are as follows.
First, it define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In general, academic performance is often defined as limited to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actual academic performance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cognitive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on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the definitional asp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ncept and cases of academic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Second, it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derives a relationship model, and analyzes it. It presents a model that can identify how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actually affect academic performance, and verifies it through empirical data. Fourth, it is the key task and policy measure derivation for the spread of the resul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performance model of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policy measures for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are derived.
In order to analyz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derive career education policy measures,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mpirical models, and holding of expert consultation meetings are used.
...
<표 1-1> 연구의 절차	12
<표 2-1> 초중고 학생 대상 진로개발역량 척도 	21
<표 2-2> 초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 설문 문항	22
<표 2-3> 중학생용 진로개발역량 설문 문항(장현진 외, 2015)	24
<표 2-4> 고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 설문 문항	25
<표 2-5> 교육부 기초학력진로교육과의 업무 분장	31
<표 2-6> 1・2차 진로교육 기본계획의 성과 및 한계	33
<표 2-7> OECD 진로준비도 변수	47
<표 2-8> OECD 변수 간 관련성	50
<표 2-9> 진로교육 및 체험 확인적 요인 분석 모형 적합도(참여 여부)	52
<표 2-10> 진로교육 및 체험 확인적 요인 분석 모형 적합도(참여 만족도)	54
<표 2-11> 진로교육 및 체험의 진로성숙도 효과(참여 여부)	55
<표 2-12> 진로교육 및 체험의 진로성숙도 효과(참여 만족도)	56
<표 2-13> 학업성과 확인적 요인 분석 적합도	61
<표 3-1> 구조방정식 모형 변수	67
<표 3-2> 자기회귀교차분석 모형 변수	68
<표 3-3>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70
<표 3-4> 측정 모형(진로활동 참여)	71
<표 3-5> 측정 모형(진로활동 만족도)	72
<표 3-6> 구조 모형(진로참여-학업성취도)	73
<표 3-7> 구조 모형(진로참여-학업성취도)의 간접 효과	73
<표 3-8> 구조 모형(진로참여-자아개념)	75
<표 3-9> 구조 모형(진로참여-자아개념)의 간접 효과	75
<표 3-10> 구조 모형(진로만족-학업성취도)	76
<표 3-11> 구조 모형(진로만족-학업성취도)의 간접 효과	77
<표 3-12> 구조 모형(진로만족-자아개념)	78
<표 3-13> 구조 모형(진로만족-자아개념)의 간접 효과	78
<표 3-14> 학업성취도에 대한 진로교육 및 체험의 계층별 효과(참여 여부)	81
<표 3-15> 학업성취도에 대한 진로교육 및 체험의 계층별 효과(만족도)	81
<표 3-16> 자아개념에 대한 진로교육 및 체험의 계층별 효과(참여 여부)	82
<표 3-17> 자아개념에 대한 진로교육 및 체험의 계층별 효과(만족도)	83
<표 3-18> 자기회귀교차분석 모형의 식별(진로성숙도-학업성취도)	85
<표 3-19>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구조 효과(진로성숙도-학업성취도)	86
<표 3-20> 자기회귀교차분석 모형의 식별(진로성숙도-자아개념)	89
<표 3-21>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구조 효과(진로성숙도-자아개념)	90
<표 3-22> 주요 변수의 구성 및 설명	97
<표 3-23>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	98
<표 3-24>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 경험의 학업적 성과(전반)	101
<표 3-25>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개별)	104
<표 3-26> 대학 학업성과 분석 자료 및 대상	108
<표 3-27> 주요 변수의 구성 및 설명	109
<표 3-28>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	110
<표 3-29>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 경험이 대학 진학 이후 학업에 미치는 영향(전반)	116
<표 3-30>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 경험이 대학 진학 이후 학업에 미치는 영향(개별)	118
<표 3-31> 노동시장 성과 분석 자료 및 대상	124
<표 3-32> 주요 변수의 구성 및 설명	126
<표 3-33>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	128
<표 3-34>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 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전반)	133
<표 3-35>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 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개별)	135
<표 3-36> 고교 진로교육 및 체험의 종합적 효과	146
<표 4-1>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 실증 분석 요약	151
<표 4-2> 중학교 진로교사 FGI 대상	153
<표 4-3>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진로교육원 진로체험	159
<부표 1> 계층별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성취도 효과(참여)	197
<부표 2> 계층별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성취도 효과(만족)	198
<부표 3> 계층별 진로교육 및 체험의 자아개념 효과(참여)	199
<부표 4> 계층별 진로교육 및 체험의 자아개념 효과(만족)	200
[그림 2-1] 진로지도의 성과	18
[그림 2-2] 제3차 기본계획	41
[그림 2-3] 진로교육 및 체험 확인적 요인 분석(참여 여부)	53
[그림 2-4] 진로교육 및 체험 확인적 요인 분석(참여 만족도)	54
[그림 2-5] 진로교육 및 체험의 진로성숙도 효과(참여 여부)	56
[그림 2-6] 진로교육 및 체험의 진로성숙도 효과(참여 만족도)	57
[그림 2-7] 학업성과 확인적 요인 분석	62
[그림 3-1] 진로참여-학업성취도의 구조모형	74
[그림 3-2] 진로참여-자아개념의 구조모형	76
[그림 3-3] 진로만족-학업성취도의 구조모형	77
[그림 3-4] 진로만족-자아개념의 구조모형	79
[그림 3-5]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진로성숙도-학업성취도)	87
[그림 3-6]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진로성숙도-자아개념)	91
[그림 4-1] 영국의 inspiring future 사례	16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진로교육 및 체험의 학업적 성과 분석 2024.01.01~202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