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불안
- 저자명
- 윤혜준 정은진 김혜정
- 분류정보
- KRIVET Issue Brief(3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5.09.25
- 등록일
- 2025.09.25
AI의 확산은 고등교육에서의 학습 경험과 교수·평가 방식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가져오며 새로운 전환점을 열고 있음. AI는 보편적 학습 도구로 자리 잡으면서, 효율성과 창의성 증진과 함께 인지적 의존, 진로 불확실성 등 새로운 긴장도 동반하고 있음.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다수는 AI 활용이 학업 효율성 증진과 창의적 과제 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한 동시에, 과도한 의존, 표절·저작권 침해, 역량 저하에 대한 우려도 인식하고 있었음. 또한 AI에 대한 학습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일자리 대체와 사회기술적 리스크에 대한 불안은 높게 나타나, AI를 학습 도구로 수용하면서도 사회·윤리적 파급 효과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복합적 인식을 드러냄. 교육기관은 효율성을 넘어, 학습자가 기술 활용에서 비판적 성찰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 기회를 확장하고, 기술 의존으로 인한 역량 저하와 불안을 완화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함.
대학생의 학습 활동에서의 AI 활용 경험
대학생들의 AI 인식과 활용 의향
AI에 대한 긍정적 태도
AI에 대한 불안
AI에 대한 비판적 이해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건
기본 |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교육전환: 인재양성 아젠다 | 2024.01.01~2024.12.31 | 바로가기 |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5) | 2025.01.01~2025.12.31 | 바로가기 |
- Issue Brief 콘텐츠 문의처
-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