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3권

벤처기업의 성장 단계별 HRD모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Business Cycle Based HRD Modeling in Venture-industries.
저자명
이장익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3-00-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0.12.31
등록일
2001.04.18
이 연구는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와 디지털 환경의 의미를 가장 실질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벤처기업의 분석을 통하여 우리 나라 인적자원개발 노력의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적자원(Human Resources)과 벤처기업은 불가분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벤처기업이란 “고도의 기술력과 지식 및 아이디어를 가진 소수의 모험(벤처) 기업가들이 혁신 기술을 상품화하기 위해 큰 자본 없이 과감하게 세우는 기업”(동아일보, 1999)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지식과 창의성이라는 인적자원의 역할이 곧 벤처기업의 핵심 구성 요인(송영수, 1999:29-30)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벤처 관련 연구물은 혁신적 기술과 지식의 상품화 과정에 치우쳐 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으며, 디지털 시대의 경제 활동에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 일각에서는 학습조직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기업내 교육훈련과정의 중요성과 혁신 필요성(유영만, 1999)이 제기되어 왔으나 정보통신 관련 벤처기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에 대한 연구 관심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더구나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있어서 벤처기업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벤처라는 현상의 분석을 통하여 지식기반사회와 디지털 환경에 대응하는 인적자원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하여 벤처기업의 개념적 정의 및 현황을 종합하고 벤처기업의 성장 단계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에의 시사점을 논의하도록 한다. 
이 연구는 벤처기업 관련 문헌분석과 함께 벤처기업의 현업 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벤처기업에 관련한 문헌자료는 경영 기법 혹은 벤처경영 관련 지침서 유형은 많으나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연구물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의 인적자원개발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 선언문을 기업조직의 지식역량 강화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벤처 실무자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실제 조사 대상 벤처기업은 정보통신 관련 업체로 한정하였다. 정보통신 관련이라 함은 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생산 및 유통에 있어서 정보통신기술이 핵심 성공요소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정보통신기술이 기존 업무의 자동화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한 기업의 핵심적 전략으로 응용되는 경우를 정보통신 관련 벤처기업으로 정의한다. 
벤처기업의 대두는 매우 짧은 시간에 폭발적인 속도로 대중화되었으며, 수많은 벤처가 지금도 생겨나고 또 사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벤처기업의 급변하는 속성은 바로 디지털 환경과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국경 없는 경쟁이라는 21세기의 속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This preliminary study is conducted based on some assumptions. First, explosive growth of venture-business does have profound and society-wide implications. Second, the venture-business model may thus serve as a guideline upon which we can use against the tidal wave of digital revolution. Third, from the point of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 venture-business practices are a valuable research material for innovative and effective HRD.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HRD and venture-business model so that a future directions for HRD in digitalized environments might be proposed.
First, this study attempted a synthesis of definitions for venture-business. On one side, venture-business denoted high-risk, high-return enterprises while another group defines it as a innovative and technology-intensive enterprises. The common elements were innovativeness, creativity, and knowledge-intensive small to medium business units.
Second, available data on Korean venture-business map was analysed to confirm the definitions.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venture-business fit into forementioned elements of venture-firms.
Third, a theoretical model of venture-business and HRD was proposed which argued that the venture-firms, HRD, and Knowledge management model all indicate a common objective as the strengthening of knowledge capabilities.
Fourth, this study attempted a verification of venture-HRD-knowledge management model by conducting a series of interviews with venture firm employees and manag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l fits generally well with the venture-firm practic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there are clear and critic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HRD and venture which will influence each other's further development. Based on this preliminary study findings a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po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3권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