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5권 1호

생산적 복지정책과 공공고용서비스의 역할 변화

Workfare Policy and the Changing Role of the Public Employment Service
저자명
한상근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5-0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7.31
등록일
2002.07.31
Ⅰ. 서론
Ⅱ. 복지국가의 변화 - 슈페터주의 근로연계 국가의 등장 - 
     1. 세계화와 국민국가
     2. 복지국가의 위기와 신자유주의의 등장
Ⅲ. 「생산적 복지」정책의 전개
     1. 「생산적 복지」담론
     2. 생산적 복지의 정책화
Ⅳ. 공공고용서비스의 역할 변화
     1. 공공고용서비스의 정의 및 범위
     2. 공공고용서비스의 역할 변화
     3. 우리 나라의 공공고용서비스
Ⅴ. 생산적 복지와 공공고용서비스 - 주요 쟁점 및 정책방향 -
     1.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공공고용서비스
     2. 생산적 복지정책의 전제조건
     3.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4. 분권화와 민간부문의 활용
     5. 노동시장 정보 시스템의 확충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Scholars had dicussed workfare poicies and public employment service(PES) separately. But workfare poicies and public employment service are interdependent. This study analyzed tje level and contents of PES that workfare policies demand.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that the functions of PES historically operate differently of PES were job broking and the management of unemployment benefits.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labor market information and labor market adjustment program have taken important position.
  In Korea since departure of Kim Dae-Jung Administration workfare policies were declared as nation's central policies. In relation to this point we discussed the following subjects: the precondition of workfare policies, necessity of integrate approach, decentralization, pratnership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expansion of labor market information system, investment magnification of P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5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