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6권 2호

실고생의 멀티미디어 매체활용 교육에 있어서 인지양식과 정보제시유형의 관계 연구

The association of types of presentation and cognitive style on multimedia learning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저자명
변숙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6-02-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1
등록일
2003.12.31
Ⅰ. 서론 / 167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67
     2. 연구 가설 / 168
     3. 연구의 제한점 및 용어 정의 / 169
Ⅱ. 이론적 배경 / 170
     1. 인지양식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 / 170
     2. 멀티미디어 매체의 정보제시 유형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173
     3. 인지양식과 정보제시 유형에 따른 멀티미디어 매체의 학습 효과 / 175
Ⅲ. 연구 방법 / 178
     1. 연구 설계 / 178
     2. 연구 대상 / 179
     3. 연구 도구 / 181
     4. 연구 절차 / 182
     5. 분석 방법 / 182
Ⅳ. 결과 및 해석 / 184
     1. 실업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 184
     2. 인지양식에 따른 특성과 학습효과 / 188
     3. 정보제시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 192
     4. 인지양식과 정보제시유형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193
Ⅴ. 결론 및 제언 / 196
참고문헌 / 200
Abstract / 202
 In this research, Cognitive style(field-dependent/field-independent) clears effectiv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to vocational high school learners by differing and presents information presentation type to other learn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developing efficient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Through this research, result and offer drawn are same as following. As analysis result that dichotomies analysis uses PROBIT, multimedia presentation(motion picture+narration+text) improved the learning performances in comparison with picture+text presentation for field-dependent learners.
 Multimedia practical use education that picture and narration etc. are presented to multimedia presentation laying stress on same reflex to vocational high school learners, especially field-dependent learner who studies accomplishment degree is low than field-independent learner that decline and basis teachability tribal problem is advancing seriously studying winter season could understand the most efficient multimedia learning mater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presentation form appropriate to the learner's cognitive style need to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individual learner's performanc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6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