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9권 1호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Youth Mobility from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Large Enterprises
저자명
채창균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9-01-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07.31
등록일
2006.07.31
이 연구에서는 청년층의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으로의 취업과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의 노동이동을 위시한 기업규모간 노동이동 실태를 보다 명확히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하는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다시 말해 중소기업 취업 경험이 대기업 입사시에 유리한 경력으로 작용하는지 아니면 낙인(scar)으로 작용하게 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중소기업 취업이후 대기업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그다지 제한적이지 않고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중소기업에서의 취업경력이 대기업 입사시 임금에반영되어, 예를 들어 중소기업 취업경력이 1년인 졸업생의 경우 미취업자보다 5%내외의 임금을 더 받고 있다. 이는 미취업 상태에서 대기업 취업을 기다리기보다는 눈높이를 낮추어 중소기업에 취업해서 경력을 쌓은 후 이동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I. 문제 제기

Ⅱ. 분석 자료

Ⅲ. 기업규모별 노동이동의 유형화

Ⅳ.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Moving from a job at a small- or medium-sized enterprise (SME) to one at a large firm is not rare, but, rather, it takes place quite frequently. Among those large-firm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1 year ago, 27.6% had the experience of working at SMEs. This figure increases to 48.5% among those graduated from college 3 years ago. These results show that moving from a SME to a large firm is not restricted, but quite open. In addition, those who have worked at a SME for 1 year earn 5% more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 work experience at a firm, other things being constant. This implies that it will be more rational for graduates to find a job at a SME and gain experience before moving to a large firm rather than staying unemployed to enter a large firm.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9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