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0권 2호

멘토 기능이 직무유형에 따라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entoring on the Adaptation to Organizations according to Duty Type - Focused on Employees in the First Class Hotel in Seoul
저자명
백지연 최윤정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0-02-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08.31
등록일
2007.08.31
  현대 사회는 과거와는 달리 그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더욱 복잡화, 다양화 되고 있어 조직구성원의 신속한 조직적응은 조직의 입장에서 볼 때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멘티의 직무유형에 따라 멘토기능이 조직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검증함으로써 직무특성에 맞는 멘토링 제도의 도입 및 멘토 기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소재 특1급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멘토가 존재하는 종사자의 경우 역할 모호성 감소가 높게 나타나 조직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멘티의 직무유형에 따른 조직적응도를 분석한 결과 역할모호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멘티의 직무유형에 따른 조직적응도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조직적응 측정 요인 중 직무만족에 대한 멘토기능 요인은 직무유형별로 다른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hanges of modern society have been rapidly advancing compared with the past, and it has been complicated and diverse. Therefore, the adaptation of employees to organizations is very important in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f there is formal or informal mentoring relationship within employees, their adaptation could be more effectively progre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functions corresponded with the duty types on employee’s adaptation to their organizations. Eight hotels among the 18 first-class hote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survey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In the conclusion, the existence of mentor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adaptation to organiz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the fact that mentoring program contributes to increase employees’ adaptation to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s to implement mentoring programs with a careful design, considering the duty types and mentoring function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0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