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0권 2호

고용형태에 따른 초기경력자의 학습과 적응 방식의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nd Adaptation of Early Career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 Focusing on Developmental Relationships in Business Organizations
저자명
장원섭 김정환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0-02-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7.08.31
등록일
2007.08.31
  이 연구는 초기경력자인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학습과 적응 방식의 차이를 기업 내 개발지원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300인 이상 규모, 34개 기업에 재직 중인 4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 경험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비정규직의 참여가 적었다. 둘째, 개발지원관계망의 크기는 정규직이 더 컸으나, 개발지원자들과의 부서·업무·성별 동질성과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를 통해 만난 사람과 개발지원관계들을 형성하는 경향은 비정규직이 더 높았다. 그리고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낮은 지위의 사람들과 개발지원관계들을 맺고 있었으며, 개발지원자와 보다 친밀한 관계를 형성했다. 셋째, 정규직과 비정규직 집단 별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학습과 적응의 내용에 따라 다른 유형의 관계를 필요로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기경력자 개인들과 그들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nd adaptation of early career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and it focuses on developmental relationships in business organiza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417 employees working at 34 large corporation located mainly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employees participated more in mentoring and CoP programs, learning more through formal relationships, than contingent employees. Second, contingent employees had smaller developmental networks, a higher level of identifying with their co-equals, department, gender, and a deeper level of intimacy with their developmental supporters than regular employees.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developmental relationships more readily with low status workers, workers meeting at learning through formal relationships than regular employees. Thir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two groups needed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arning and adapta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0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