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0권 3호
대졸 여성의 사회적 관계망과 구직 간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Network of the Female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Job Search Activity
- 저자명
- 안재희 오재림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0-03-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7.12.31
- 등록일
- 2007.12.31
본 연구는 대졸 여성들의 구직경로와 취업을 위해 동원한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취업결과 간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분석하였다. 우선, 구직경로를 보면 성별, 대학서열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대졸자들이 구직정보 채널로 인터넷을 가장 많이 활용했지만 실제 구직경로는 성별, 여성집단 내 대학서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대졸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을 보면, 대부분 대졸 이상의 학력을 지니고 자신의 경제적 지위와 비슷한 남성이 주류를 이루지만 연결강도는 여성 집단 내 대학서열에 따라 달라졌다. 그리고 비슷한 사회적 관계망을 구직과정에서 동원했어도 협력자로부터 받은 도움유형은 성별에 따라 달랐다. 이를 통해 대졸 여성의 구직과정은 젠더화 된 사회적 관계망이 개입되는 역동적 과정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the social network of female university graduates affect their job search process and job.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at the female university graduates' job search activity is influenced by discriminate approach and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along hakbol and sexism. For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293 person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ies in Seoul from 2003 to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ost used job search channel and the most successful job search channel by university hierarchy and gender. And the effect of institutional social network differs between genders. Secondly, the social network that female university graduates use to obtain job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strong ties with university friends who are similar to respondents' economic position and educational level. Thirdly, these characters are interrelated with the information by their helpers and the job result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0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