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1호

대졸 청년층 하향취업의 결정요인

Measurement of
저자명
신선미 손유미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1-0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04.30
등록일
2008.04.30
  이 연구는 29세 이하, 취업경험 6년 이하 대졸 청년층의 하향취업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하향취업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통계적인 방법을 고안하였고, 그와 동시에 주관적 평가 방식에 따른 측정방법을 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산업별·직업별 고용구조조사(2006)」원자료다.
  하향취업자 비율은 통계적 측정방법에 따르면 42.7%, 주관적인 평가에 따르면 22.0%로 측정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통계적 측정방법을 취할 경우 여성이, 주관적 평가 방법을 취할 경우 남성이 높은 하향취업율을 보인다. 연령이 낮을수록, 비정규직일수록, 대체로 사업체 규모가 적을수록 하향취업자 비율이 높다. 그 밖에 미혼일수록, 자격증이 없을수록, 1년 이내에 교육·훈련 경험이 없을수록 하향취업자 비율이 높다.
  This article defined two methods to measure ‘downgrading employment’ and analysed it's main factors for korean youth workers. Downgrading employment means working in a job which needs a lower level of education than oneself's degree. We use two methods of measurement: one define it by ‘statistical method’ and another by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method, 42.7% of young workers are found in a situation of downgrading employment. But only 22.0% of them feel a situation of downgrading employment. Downgrading employment is more frequent within women, younger age group, non regular employee, medium and small enterprises's workers. The civil state, qualification related to oneself's job, training experience are also factors which have a influence on a downgrading employmen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