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2호

국내 기업 사례에서 직무순환이 인사고과 점수와 핵심인재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xamining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Candidates Selection in Talents Management through an Organization Case
저자명
김영태 한준상 최항석 김소영 김민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1-02-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08.31
등록일
2008.08.31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서 핵심인재 경력개발의 일환으로 실행되고 있는 직무순환이 인사고과 점수와 핵심인재 선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직무순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기업 G사에 근무하고 있는 과장 이상 관리자 총 990명에 대해 학력, 직책, 근속년수와 함께 인사고과 점수와 핵심인재 선정 여부를 포함하는 평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직무순환빈도를 나타내 주는 직무평균 근무년수와 수행평가 점수 및 핵심인재 선정이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결과, 연구 대상자의 직책과 근속년수는 인사고과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나 학력과 직무평균 근무년수는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인사고과 점수와 직무평균 근무년수가 핵심인재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순환이 인사고과 점수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포괄적인 평가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핵심인재 선정에는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candidate selection in talents management by investigating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of the G compan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990 managerial level employees and the data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demographic information, job information, and evaluation results for each individual. In particular, evaluation information included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as well as potential evaluation encompassing leadership, personality, relationship, competencies, etc. In this study, the length of service per job indicated the number of job rotation that each employee had experienc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employees' duties, the total length of servi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Regard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effective factors of candidate selection in talent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the length of service per job, educational background, and employees' duties were also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job rotation would be influential and useful to foster talented leaders in this organiza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