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2호

사회적 자본 특성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and job Attitudes
저자명
정명호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1-02-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8.08.31
등록일
2008.08.31
  본 연구는 조직에서 개별 구성원들이 형성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집단 내 업무조언 네트워크에서 개인의 중심성, 중첩성, 구조적 공백위치가 개인의 업무성과(task performance)와 맥락적 성과(contextual performance)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개인의 직무태도가 사회적 자본의 효과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국내 11개 기업 283명으로부터 획득한 네트워크 자료를 통해 연구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에서 개인의 중심성과 중첩성은 업무성과와 맥락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의 구조적 공백위치(매개중심성)는 업무성과와 맥락적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은 유의적인 효과가 없었으며, 조직몰입은 내향중심성이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of social capit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job performance. I measured indegree centrality, multiplexity, and structural hole (betweenness centrality) of task advice network within work group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se social capital variables on individual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lso analyzed through 283 individual-level network data from 11 Korean firm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Centrality and multiplexity within social network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ask- and contexutual-performance. (2) Structural hole posi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of individual job performances. (3)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and job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centrality on contextual performance were partial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effect was limit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