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1권 3호

이러닝(E-learning) 사이트 특성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E-learning Site
저자명
정경수 이원빈 노미진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1권 3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8.12.31
등록일
2008.12.31
  본 연구는 Davis, Bagozzi & Warshaw(1989)가 제안한 TAM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유희성, 정보풍부성, 적합성, 자기효능감이라는 이러닝 사이트 특성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러닝 사이트 이용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유희성, 적합성,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가졌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신뢰성은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 사이트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the e-learning sit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of the Davis et al.(1989).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arning site such as enjoyment, information richness, compatibility, self-efficacy. We proposed a model of technology acceptanc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variables and individual acceptance of e-learning site.
  This model was tested using data gathered from 203 users of e-learning si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evaluate the causal model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joyment, compatibility, and self-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self-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The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redibility,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credibility had some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When it consider the market share or the growth potential of the e-learning industry, this research results will be able to utilize as the basic information of an industr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11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