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2호

생산직근로자의 학습네트워크 형성 과정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of the Blue Worker
저자명
김남숙 기영화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2-02-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08.31
등록일
2009.08.31
  본 연구는 일터에서의 맥락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학습활동을 이해하고자 생산직 근로자의 일터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생산직 근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현재 생산라인에 투입되어 근무하는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에 의한 근거이론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과정을 거쳐 면담자료를 범주화한 62개의 개념과 26개의 하위 범주와 1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의거하여 모형을 구성하였다.
  생산직 근로자의 학습네트워크의 인과적 조건은 ‘일터에서의 문제 상황 직면’ 이었으며, 형성배경으로 살펴본 학습네트워크유형은 중심현상으로는 문제해결 학습네트워크, 관계적 학습네트워크, 업무중심 학습네트워크, 제도화된 학습네트워크, 전문가지원 학습네트워크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네트워킹은 일터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학습양식의 중심특성이며, 생산현장에서의 학습네트워크는 지식과 정보 뿐만 아니라 일터에서의 경험을 연결하고 교류한다. 또한 조직에서 학습이 발생되는 원천은 문제 상황과 그에 따른 해결노력으로서, 개인·조직의 목적이나 실질적 성과에 부합될 때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되
었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learning networks of blue workers, whose workplace are social interaction context. This aimed attempts producing job service career above three years experienced person that uses grounded theory as a research method.
  After researching, we finally drew out 62 concepts, 19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of grounded theory. Causal conditions for the blue work’s learning network says issue situation. The producing job blue workers learning network behaviors can be formation ground into the following five patterns ; problem-oriented learning networks, relationship-oriented learning networks, task-oriented learning networks, official-oriented learning networks, specialist support-oriented learning networks.
  Networking is a characteristic of workplace and special trait of their learning mode. Their learning is achieved through exchang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through continual communication. Workplace learning is developed through learning networks that connect and transmit knowledge, information, learning experiences. And then workplace learning is when with problematic situation as the solution plan against it corresponding in result of organization, there was a value and it was evaluated all.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