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권

직무훈련과 생산성 관계의 이론적 고찰 :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Theoretical Approa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Training and Productiv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OECDs
저자명
이남철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1-00-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인적 자본이론에 근거한 이 논문은 새로운 이론과 실증 계량 분석을 통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보다는 직무훈련에 대한 이론적 및 계량적 접근 방법과 최근의 연구들, 특히 선진 OECD 국가들의 직업교육훈련과 노동시장 동향을 심도있게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논문의 구성은 II장에서는 직무 훈련과 교육이 노동시장 생산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OECD 국가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살펴 본다. 또한 어떠한 그룹들이 교육으로부터 평생학습 기회의 부족 때문에 더욱더 높은 실업의 위험과 낮은 임금에 처해있는가를 분석한다. Ⅲ장에서는 일반목적 훈련과 특수목적 훈련이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과 기술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훈련 개념 정립과 직무 훈련의 편익과 비용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경제적 모형을 살펴 본다. Ⅳ장에서는 직무 훈련의 함축성을 설명하고, Ⅴ장에서는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추진 연구 계획을 밝힘으로써 이 글을 마무리한다.  
The aim of their essay is to review the role of training in economic performance.  This article is an update and continuation of human capital theory.  Using recent data from the OECD, it is found that on-the-job training (OJT), just like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future earning streams as it increases the worker's productivi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fic training.
Like human capital theory, we suggest that building human capital (training, education, and health) should be a key development strategy for economic productivity. Many empirical research demonstrates that OJT has an important positive outcome. However, opportunity for OJT development is not equally accessible to all.  By facilitating OJT development among disadvantaged group, the government and employers can help individuals obtain skills that will enable them to compete in industrial labor markets.
The emphasis on investment and development is particularly relevant today important.  Since, in the current economic climate, support for OJT is likely to decline.  However, we should offer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OJT among employees.  The most valuable of all capital is that invested in human capital, especially OJ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권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