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권

중국의 사회변동에 따른 직업기술교육의 발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of China
저자명
강일규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1-00-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2000.04.30
본문의 목적은 우선 중국의 직업기술교육에 대한 이해에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그간 중국과의 소원한 관계로 인하여 교류가 단절되었다가 최근에 관계가 개선?강화되면서 각 영역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등소평 집권기까지 사회변동에 따른 직업교육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사회주의국가의 직업교육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직업교육의 발전 경험에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부차적인 목적으로 같은 사회주의 노선을 견지하고 있는 북한의 직업교육을 파악하기 위한 전 단계로써의 의미도 있다. 

연구방법과 대상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일차적인 자료와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분석방법을 채택한다. 동시에 법?제도적인 접근법(legal-institutional approach)과 역사적인 접근법(historical approach)을 활용하고자 한다. 즉 중국의 직업기술교육은 사회변동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전제하에, 사회변동의 주요 변수 	이한빈(1968)은 사회변동의 종류를 다음과 같은 요인을 들고 있다. ① 인구변동-인구폭발, 인구의 이동, 인구의 질적 변동 ② 사회문화적 변동-교육의 보급과 문맹퇴치, 민족문화의 부흥과 고유문자의 보급, 농지개혁, 군대의 확장, 도시화, 대가족제도의 붕괴 등 ③ 사상적 변동-민족주의, 평등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군국주의, 자유주의 등 ④ 기술적 변동-공업?교통 및 통신의 발달, 농업의 기계화, 매스컴의 발달, 무기체계의 현대화 등 ⑤ 경제적 변동-화폐경제권의 확대, 인풀레이션, 불경기, 소득 재분배, 공업화 등 ⑥ 정치적 변동-중앙집권적 권력장치, 전국 및 지방선거, 중앙 및 지방의 입법?사법?행전조직의 수립, 정당 및 이익집단의 발생, 지식층과 군부 등 새로운 엘리트의 정치무대 등장, 혁명 등을 제시하고 있다.
를 인식하면서 중국의 각급 직업학교를 대상으로 직업교육발전과정을 제도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연구 한계로는 문헌분석에 따른 연구에 치중하다 보니 실증적인 연구가 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차후에 좀더 실증적인 분석작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다음으로 용어의 문제이다. 본문에서는 중국 특유의 학제와 체제에 따른 용어를 우리 식으로 번역했을 때 발생하는 오해를 줄이기 위해 이해의 범위 내에서 중국식으로 표기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괄호를 사용하여 이해를 쉽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VTE) of China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in Korea by analyzing the developing process of VTE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VTE. Literature review, legal institutional analysis, and historical approach were utilized as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The system of VTE in China is composed of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stage. The VTE in China has been developed flexibly along with the social change while keeping the main philosophy of Chinese socialism. Specifically, after the reform-open policy, China government has supported and invested the VTE. The main factors to bring about the change of VTE in China i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economical, socio-cultural, and technological change.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VTE of socialist country, China, as follows;
1. Chinese government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toward VTE and enhancement of adaptability of VTE to social change by valuing vocation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equally.
2. For vocational education schools and institutes, the elements of the liberal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3. Divers VTE by taking accoun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region has been developed.
4. The openness and diversity of VTE has been emphasized.
5. Work-place learning has been implemented by establishing both a school and a training factor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권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