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권

정보화와 노동시장 변화

Information Technology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저자명
이병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1-00-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본 논문에서는 Ⅱ절에서 선진국의 노동시장 유연화 추구의 경험을 미국의 경쟁적 노동시장과 유럽의 규제적 노동시장을 대비하여 살펴본다. 시장에 의한 유연화가 노동시장 성과를 개선한다는 견해와는 달리, 미국의 노동시장에서는 실질임금의 정체와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가 초래됨으로써 유럽에서의 실업의 증대와 지속이라는 현상과 비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Ⅲ절에서는 정보기술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술적 실업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정보기술의 확산이 반드시 실업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며, 노동시장에 미치는 보다 주요한 문제는 기술진보로 인한 숙련의 불일치(skill mismatch)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최근 선진국에서 두드러진 저숙련 노동자의 실업 증대와 임금 저하에는 고숙련지향적 기술변화(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뿐만 아니라 저임 고용전략(low road strategy) 때문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식기반경제의 구축을 위해 교육훈련의 강화를 통한 노동력의 질 제고가 우선되어야 하며, 또한 민주적?참여적 노사관계를 통해 상호 이익(mutual gains)을 실현하는 협력적 유연화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information-based new technologies become central to most aspects of economic activity. But the extent to which information technology creation and diffusion contribute to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is still on the controversial. The developed countries characterized by rapid technological advance face high unemployment rates, weak employment growth and rising wage inequalities. In the US and UK etc, workers are confronted by the falling real wages, growing shares of low wage jobs, sharply growing earnings inequality, and declining job benefits and job security. Workers in continental Europe suffer from the labor market that produced too few jobs.
These facts have been explained by 'technology-induced skill mismatch' theory. They argue, the spectacular growth in earings inequality in US and the rising unemployment rates in continental Europe can be accounted for by shifts in demand by employers from low skilled towards high-skilled workers. Futhermore, this argument has been followd by the more labor market flexibility to utilize the potential of new technologies.
I argue, however, that the demand shift alone cannot explain the change of labor market. Many employers' 'low-wage human resource strategies' led to the growth of inequality. Also, the improvement in the function of labor market is necessary, but labor market flexibility do not guarantee, in themselves, that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ll suffice to meet the job-creating needs of knowledge-based growth.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권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