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3호

초기 경력자의 멘토링 기능에 대한 멘토링 관계망 특성과 조직 요인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Network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Mentoring Functions in the Early Careers
저자명
장지현 장원섭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2-03-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이 연구는 초기 경력자들을 대상으로 관계망의 관점에서 멘토링을 개념화 하고 그 특성과 기능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멘토링 기능에 대한 조직 요인의 효과도 함께 검증하였다. 또, 실증분석을 위해 다층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자본의 배태성을 나타내는 멘토링 관계망의 관계 강도가 경력 기능, 심리사회 기능, 역할모델 기능 모두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자본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관계망의 범위는 경력 기능과 역할모델 기능에 대해 부적 관계를 보였다. 다양성의 또 다른 지표인 관계망의 크기는 멘토링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 기능들에 대한 조직 특성 요인은 심리사회 기능과 역할모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경력 기능에 대해서는 조직 요인의 고려가 필요하였다. 그 중 멘토링의 공식화가 멘토링 기능 변수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ceptualizes mentoring from social network perspective and substant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which employ the strength of ties representing the embededness called ‘bonding’ forms of social capital as well as network size and network range representing the diversity called ‘bridging’ forms of social capital, and mentoring functions, which include career, psychosocial, and role modeling functions. In addition, it explores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s in organizational context: they imply firm size, industry, and formalization of mentoring in this study. Hierarchical Linear Model i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and mentoring functions from mentoring networks,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factors, with samples of firms and their early career employees.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ie strength has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all of three mentoring functions. Second, Network range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significantly. Third, network size is not associated with any mentoring function. Fourth, formalization of mentoring-a variable at organizational level in this study-affects career function, significantl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