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3호

대학생의 모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연구 : 완벽주의와 외재적 일가치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xtrinsic Work Value
저자명
이예진 이기학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2-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완벽주의 하위 차원 중 하나인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PP)와 외재적 일가치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다회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PP의 하위 요인 중 조건적 수용이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일가치가 SPP와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주요 맥락적 변인 모애착의 경우, 대학생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이로 인해 형성된 성격적 특성을 매개로 진로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성격적 특성에 맞는 일가치 선호가 진로 결정을 촉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대학생의 모애착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바탕으로 선호 일가치와의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 지도에서의 적절한 개입방법과 개인 특성에 맞는 차별적 처치의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SP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xtrinsic work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Data from 16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study revealed that conditional acceptance, one of the SPP’s sub-dimen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and the extrinsic work value functioned as significant moderator that accoun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P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action of personal trait and preferred work values should be considered to better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s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