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3호

전공계열별 교육투자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 분석

Choice of College Major and Long-term Labor Market Outcomes
저자명
김미란 신동균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2-0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구축한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82년도와 1992년도 대학 졸업생들이 경험한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를 전공계열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개인이 대학 졸업 후 실제로 경험한 일자리의 임금과 고용정보를 이용하였으며, 전공 선택에 따른 생애소득을 (i) 커리어 직장을 취득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 (ii) 취득 확률, (iii) 커리어 직장 시작 시 연봉, (iv) 연봉 상승률이라는 네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전공 선택에 따른 득과 실이 어느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비록 커리어 직장에서의 근속이 장기화됨에 따라 이공계 선택의 경제적 유인이 감소해가는 특성은 발견되었으나,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평균 퇴직연령 등 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이공계 기피현상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강한 경제적 논거를 찾을 수 없었으며, 인문사회계에 대한 이공계 선택의 상대적 인센티브는 1982년도 졸업생보다는 1992년도 졸업생에 이르러 오히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On the basis of multi-cohorts survey data on college graduates colle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long-term earnings consequences of choosing a particular field at the college level.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conventional belief that there exists economic disincentive for high school graduates to avoid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relative to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Unlike existing studies, our analysis is based on longitudinal information on wages and employment college graduates actually experience over the course of work career, which enables us to compare long-term benefits and costs associated with a field choice across different fields, in terms of initial wages, wage growth, probability of acquiring a career job as well as the waiting time until the career job. Results generally do not accord with the conventional wisdom.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2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