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2호

한국의 숙련구조 변화(1993~2004): 임금함수 추정을 통한 숙련측정방법을 사용하여

Changes in the Skill Structure in Korea(1993~2004) : Measuring Skills Using Regression on Wage Equation
저자명
윤윤규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3-02-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08.30
등록일
2010.08.30
  본 연구는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1993~2004년 동안 숙련요인별 기여도, 숙련구조, 숙련수준 및 격차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임금방정식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한 다음 숙련요인들에 기인하는 예측치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숙련점수를 추정한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정된 직업별 숙련점수의 순위는 직업사전 등 다른 숙련지표를 사용한 국내외 연구와 대체로 부합하며, 이는 본 연구에서 시도된 숙련측정방법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숙련향상가설이 예측하듯이 분석기간 동안 대부분 직업에서 상당한 숙련수준 향상이 관찰되며, 분석기간 동안 숙련점수 순위가 대체로 유지되어 직업 간 상대적 숙련구조에서 큰 변화가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숙련직업과 저숙련직업의 고용규모와 비중이 함께 증가하는 숙련구조 양극화현상이 관찰된다. 중간 숙련수준인 기능종사자와 장치·기계종사자의 경우 상당한 숙련수준 향상을 보여주나 고용규모와 구성비에서는 빠른 감소경향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skill structure, skill level, and skill gap in Korea over the period 1993~2004, using raw data of the Survey Report on Wage Structure. Individual worker's skill score is estimated in the way of deriving/separating prediction values solely due to skill factors through regression on wage equation. The ranking of skill scores among occupations is largely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literature using different skill indices from this paper. Th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structure of skills across occupations shows little change over the period in terms of the skill ranking. Second, considerable upskilling occurs in most occupations over the period, as predicted in the upskilling thesis. Third, employment size and proportion of low-skill occupations as well as high-skill occupations increase, implying skill polarization is occurring.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