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2호
변호사ㆍ공인회계사ㆍ공인중개사 면허 취득의 소득효과
Earnings Effect of Professional Licensed Practitioners for Bar,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Realestate Brokers & Sales Agents
- 저자명
- 김상호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3-02-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08.30
- 등록일
- 2010.08.30
본 연구는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각종 효과(법규제성, 면허증 특성, 직종효과 등)를 통제한 가운데 전문면허취득자의 소득프리미엄(사례: 변호사·공인회계사·공인중개사)을 추정하였다. 면허취득자의 소득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통하여 처리집단과 비교집단의 소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인(성, 연령, 학력, 근로시간, 경력, 고용형태, 근로기간 등)을 통제한 가운데 두 집단의 소득프리미엄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공인중개사와 같이 초과 노동공급이 발생된 전문면허의 경우 직업규제로 인한 면허증 취득에 따른 소득프리미엄이 낮으며, 노동공급의 제한 및 직무영역의 포괄성이 높은 변호사(2.8배), 공인회계사(1.76배)는 높은 소득프리엄이 발생되고 있었다.
This study estimated the earnings premium of professional licensed practitioners(bar,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realestate brokers & sales agents) using by OES(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under treated the all kinds effect(regulation by statutes, characters of license, occupational effect etc). For exactly licensed holder earnings performances, this paper was used by the propensity scores matching that these matching variables(like gender, age, education, working time, career, work duration etc) included the earning factors variables related treatment group and controller group. The result showed some points. Realestate brokers & sales agents did have low earning premium in case of excess labour supply, whereas bars(2.8 folds) and certified public accountants(1.76 folds) did have high earnings premium in case restricted labour suppl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