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3호
치위생(학)과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Dept.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 저자명
- 최규일 권현숙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3-03-0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2.31
- 등록일
- 2010.12.31
치위생(학)과는 면허를 받은 전문적인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곳으로 최근 몇 년간 신설대학 증설과 입학생의 증가로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뚜렷한 개선을 나타내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의 질적인 특성을 단적으로 나타내 주는 것이 ‘교육과정’이라면, 현재 치위생과의 질적인 문제는 바로 교육과정의 문제를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에, 교육과정 개발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대학의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결정 과정 시 현장 목소리들을 통해 치위생과 교육과정이 과연 누구에 의해, 왜, 어떻게 결정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치위생(학)과 전임교수 112명의 설문과, 그 중 교육과정개발 전문가들의 심층면담을 통해서 Walkingtone의 교육과정 의사결정과정 분석의 틀로 분석한 결과,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기구마련을 통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협의의 장(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Even if there have been several reforms to dental hygiene department,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urse has been continuously questioned, showing that the course has not been properly reformed until now. Without analyzing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proces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output of the course thoroughly. Therefore, this study clearly identifies the actual state for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Questionnaire of 112 professors and In-depth interview contents of curriculum development specialists analyzed by Walkingtone(2002) Decision-Making Model. We found that there is many characteristic of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ause of process for the determinatio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are shown in various ways. Based on this results, We can suggest that college should reflect official/unofficial opinions in the process for decision-making through decision-making bod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