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3호
m-러닝 사이트 특성과 사용자 수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User Acceptance and Site Characteristics for m-learning
- 저자명
- 노미진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3-03-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2.31
- 등록일
- 2010.12.31
국내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 되면서 m-러닝 시장은 성장하게 되었으며 교육업체들은 m-러닝 시장에 많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m-러닝은 언제 어디에서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학습을 할 수 있으며, 어학 및 직무 교육 등의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m-러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려고 한다. 첫째, 신뢰 형성 요인을 m-러닝 사이트 특성으로 규명하고, 사이트 명성, 사이트 규모, 사이트 품질과 신뢰와의 관계를 증명한다. 둘째, 확장된 TAM에서 고려되고 있는 신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 태도, 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m-러닝 학습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18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이트 명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지만, 사이트 규모와 품질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지각된 유용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신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태도는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m-러닝 관련 업체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of growth on the smart phone markets in South Korea, we analys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site reputation, site size, site quality and trust for m-learning. And this study investigates among the trus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and intention for m-learning.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and 189 m-learning us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pu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but the site size and site quality didn’t have an effect on the trust. Second, the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but the perceived usefulness didn't have an influence on the trust. Third, the trus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n effect the attitude, and the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his result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many companies relating m-learning.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