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3호
서비스경제 성장과 사회자본 구축 - 학교의 역할
The Growth of Economy and Social Capital - The Role of Schooling
- 저자명
- 최종덕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3-03-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2.31
- 등록일
- 2010.12.31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지식과 역량을 바탕으로 성립되고 발전하며,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서비스경제는 사회적 신뢰, 네트워크, 서비스이념과 서비스정신 등 그 발전에 필요한 특별한 사회자본이 결여된 상황에서는 발전되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사회적 신뢰 수준은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며 서비스산업 발달에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이는 시민사회 구성원의 시민의식이 성숙되지 못하였고 신뢰사회로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 제도의 미비와 제도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사회 전반의 사회자본 형성과 서비스경제 발전을 위한 사회적 신뢰 구축과 관련하여 학교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학교는 시민교육을 통하여 학생들 간의 신뢰, 시민참여와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하여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는 경제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식기반경제와 서비스경제 체제에 적합한 경제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는 교과 외 교육활동, 봉사학습을 활성화하여 사회자본을 구축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학교는 우수한 서비스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인적자원개발을 직접 담당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ole of schooling fostering social capital that is an essential factor to develop service economy. Social capital is defined as the social relations including trust, network, norms that facilitate collective action. In Korean society, we have low level of social trust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which is not a beneficial tool to accomplish the growth of service economy. It is said that citizens don’t have enlightened citizenship and progressive service-mind. We emphasize that schooling has a powerful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ing fostering social capital, some features of the educational process can be recommended as next: citizenship education for generalized social trust be strengthened; economic education be developed based on appropriate and relevant curriculum for service econom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ervice learning connected with social capital be expanded; schooling program be diversified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service econom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