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

성인의 셀프리더십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elf-leadership among Adults
저자명
윤지민 안도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4-01-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04.30
등록일
2011.04.30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및 부산 지역에서 표집한 총 495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의 수준(상·하)에 따른 두 집단 간에 어떠한 개인적 특성 차이가 나타나는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개인적 특성 변인 중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른 두 집단을 예측 해주는 변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성인들(상 집단)은 셀프리더십 수준이 낮은 성인들(하 집단)보다 창의적인 인성을 지니고 있으며, 자율성·유능감·관계성의 심리적 기본 욕구가 잘 충족되어 있고, 내적 통제소재를 가지고 있으며 내재적으로 동기화 되어 있고 외향적이며 성실하고 친화적이며 경험에 대해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른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하위 요인들이 셀프리더십을 얼마나 예측해주는지를 살펴본 결과, 관계성, 내재적 동기, 성실성이 두 집단을 87.0% 정확하게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성인들의 셀프리더십 증진을 위해 관계성, 내재적 동기, 성실성을 함양할 수 있는 요소들을 투입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adults with higher self-leadership have higher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reative characters, psychological basic needs (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trinsic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than those with lower self-leadership (SL). In this study, 495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scores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high SL group and low SL group.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s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ed that high SL group had higher personal characters, psychological basic needs, intrinsic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four factors of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i.e.,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87.0 percent of the adults in this study were accurately classified as either high SL group or low SL group in respect to the relatedness, intrinsic motivation, and conscientiousnes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