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

청년기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진로특성 변화 및 예측: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고등학교 3학년 때의 진로특성

The Change Tendency and The Prediction for Career Properties following The Trajectory Classes of Job Decision in Adolescence - The Career Worry during College and The Career Properties during High School -
저자명
권재기 김진호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4-0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04.30
등록일
2011.04.30
  본 연구는 5년간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밝혀진 잠재계층별로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을 통해 잠재계층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종단?횡단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을 탐색하는 잠재성장계층분석에서는 직업결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결정 집단’, 직업결정을 번복하는 ‘결정혼란 집단’, 초기 몇 년간은 직업을 결정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미결정 상태가 되는 ‘결정약화 집단’, 그리고 5년간 직업을 결정하지 못한 ‘미결정 집단’이라는 4개의 잠재계층을 확인하였다. 둘째, 잠계계층별 변화양상을 비교하는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에서는 대학생 진로고민의 평균 초기치는 결정혼란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897, p<.000), 매년 .276 정도씩 진로고민이 증가하였다. 셋째, 잠재계층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 중에서 직업결정을 못한 이유, 성별, 적성인지 여부, 학교의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잠재계층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for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job decision in adolescence and compare the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career worry following the results and also examine influential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latent classes. In order to resolve our research question, we performed the research us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2004-2008 surveys. We applied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and Growth Mixture Models(GMM) with known class in longitudinal studies, and applied the Decision Tree Analysis(DTA) in cross-sectional studies.
  First, our studies’ results found the four latent trajectory classes(decision class, confusion class, weakening class, indecision class) for the job decision change. Second, in case of students’ career worry, confusion class had the highest initial average(.897, p<.000) and weakening class had the highest linear change rate(.448, p<.000) significantly. Third, among career properties of high school students, gender, indecision reason, aptitude recognition,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influenced prediction for the latent classes significantl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