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

실업자 훈련기관의 운영성과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Training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Unemployed in Korea
저자명
김수원 오성욱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4-01-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04.30
등록일
2011.04.30
  훈련기관의 운영 및 활동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실업자훈련기관을 대상으로 자료포락기법(DEA :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2010년 훈련기관의 운영성과 평가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훈련운영과 관련한 개별적인 요소들을 투입요소로 하고 훈련성과들을 산출요소로 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초효율성 모델을 사용하여 기관별 순위를 확인하고 효율적 기관과 비효율적 기관의 특성을 훈련기관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훈련기관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업훈련법인 유형의 훈련기관이 다른 유형의 훈련기관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대상 훈련기관의 23.9%가 효율적인 운영을 하고 있은 것을 확인되었으며 모범 훈련기관이 가장 많은 기관유형은 학원으로서 이들 훈련기관 중 훈련 운영 및 성과가 우수한 기관을 벤치마킹을 통한 훈련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훈련기관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화해야 할 투입요소를 살펴본 결과, 평가위원에 의한 훈련교사와 상담 등 훈련생 지원 요인이 긍정적 영향을 끼쳐 이들 요인을 보다 강화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raining operation and activities quality with input variables concerned with training operation and output variables concerned with training performance. It analyze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by using inputs of training operation dimensions and outputs of training performance dimensions based upon training evaluation results of the unemployed in 2010. And, it compared best practice organizations through ranking analysis and examined tactics of training by training corporations, training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es.
  It has derived significant findings, at first on making the training corporations more efficient than training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es. It is conformed that 23.5% training institutes of the total run the efficient operation and the highest type institutes with best practice training is educational institutes which help training improvement through benchmarking. The results examined the character of input variables is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factors making positive effects of trainee’s support like training instructor's counseling in view of external examiner of input variabl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