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2호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실시 수준과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JT Delivery 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JT Delivery Action and Job Involvement
- 저자명
- 박한규 이찬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4-02-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08.31
- 등록일
- 2011.08.31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S-OJT 훈련가를 대상으로 S-OJT 실시 수준과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OJT의 실시 수준은 얼마나 체계적으로 OJT가 발생하는가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Jacobs(2003)이 제시한 ‘훈련생 준비’, ‘교육훈련 시연’, ‘훈련생 실행’, ‘피드백 제공’, ‘성과 평가’의 개념으로 구인되었다. 둘째, S-OJT 실시 수준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변인은 ‘직급’으로 나타났다. 셋째, S-OJT 실시 수준과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변인은 ‘직급’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소기업 훈련가의 S-OJT 실시 수준과 직무몰입과의 관계에 대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조직지원이 낮은 집단(β=0.123)에서는 S-OJT 실시 수준과 직무몰입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조직지원이 높은 집단(β=0.477)에서는 S-OJT 실시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조직지원이 높을 경우 S-OJT 실시 수준이 직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JT delivery 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JT delivery action and job involvement in Small-midium sized enterprises S-OJT trainers.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JT delivery action scale was to measure the structured level of S-OJT delivery. The scale was constructed of the concepts suggested by Jacobs(2003). Second, relationship between S-OJT delivery 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oderated by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group with low organizational support (β=0.123),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JT delivery 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n the group with high organizational support (β=0.477), job involvement tends to increase with the high level of S-OJT delivery action. It means that the level of S-OJT delivery action positively affects job involvement only wh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is high.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