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3호

기업 성인학습자들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on the Employees
저자명
장인온 김재순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4-0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2.31
등록일
2011.12.31
  본 연구에서는 기업 성인학습자들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을 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스마트기기를 보유한 직장인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업기술적합성은 지각된 성과유용성을 매개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망 형성·강화 기대와 조직의 지원,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초창기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 자원을 개발함에 있어 과업기술적합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학습자가 어려움을 느끼지 않게 기술적으로 배려하고, 온라인에서 학습자 간의 관계망을 형성·강화할 수 있는 설계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더불어 조직 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This study explores structural model on the employees' learning intention using smart devices. S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ask-technology fit, network development expectatio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intention using smart devices. We surveyed 410 employees who have smart devices and have experience in e-learning.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revealed that task-technology fit mediated by perceived ease of us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intention.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each of network development expectation,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ease of use has a direct effect on employees' learning intention, regardless of perceived usefulnes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