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3호
고령자 고용과 임금체계
The Employment for Older Workers and the Wage Structure in Korea
- 저자명
- 최강식 김민준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4-03-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2.31
- 등록일
- 2011.12.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령자 임금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력-임금 곡선과 근속-임금 곡선을 산업별·직종별로 추정하였다. 근속연수-임금 곡선이 가파른 이유는 기업특수적 인적자본(firm-specific human capital)의 축적이 많거나, 연공급적 성격으로 임금이 상승하는 경우이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기업특수적 인적자본의 축적이 거의 없는 전문가와 미숙련근로자를 포함한 모든 직종에서 근속-임금 곡선이 가파르게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이 연공급제에 의한 임금체계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산업별 분석에서도 기업 내부자-외부자 간 임금격차 역시 큰 편으로 나타났다. 향후 임금 유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부의 임금체계를 능력, 직무 및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금체계 유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금피크제도, 정년연장, 재고용 등의 정책이 모두 효과를 보이기 힘들기 때문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wage structure in Korea by occupation and by industry. To identify whether the wage structure is productivity-based or seniority-based, experience-wage profiles and tenure-wage profiles are estimated. The empirical analysis finds that tenure-wage profiles are steeper than experience-wage profiles in all occupations and in all industries. The steep slope of the tenure-profiles imply either large accumulations of firm-specific human capital or the seniority-based wage structure. Especially, the slopes of tenure-profiles are very high for both specialist and unskilled workers who do not have much firm-specific human capitals. This finding shows that seniority-base wage structure are still prevalent in Korean firms. Without the productivity-based structure, however, any measure to increase the employment and/or the hiring for older workers would be ineffectiv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