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15권 2호
대기업 취업자들의 자기소개서와 면접의 시사점
Implications of the Letter of Introduction and Interview Results for the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 저자명
- 변대호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15-02-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08.31
- 등록일
- 2012.08.31
미취업 원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자기소개서와 면접이 취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특히 스펙이 낮은 지원자는 면접과 자기소개서의 작성이 합격을 위한 보완책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취업자들을 벤치마킹하여 면접후기와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어떤 공통점들이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취업자들의 스펙 중 영어회화 능력이 취약했으며 취업자들은 면접과정에서 자신감, 도전정신, 적극성, 사전예행연습을 합격의 요인으로 여겼다. 취업자들의 자기소개서에서는 유사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수치를 사용하거나 헤드라인을 두는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자신의 장점을 주로 기술하였다. 또한 입사 후 목표와 희망업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Although there are many reasons in unemployment, there are a lack of researches factors affecting unemployment regarding personal specification, a letter of introduction and interview with a recruiter. These will play a major role as a back up plan for applicants with lower specifications to get a job successful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getting a job by analyzing the letter of introduction and epilogue of interview of applicants who recently got a job in large corporations. We analyzed the letter of introduction and their feeling and opinion of successful applicants acquired from the interview process and derive major factors commonly agreed. Self-confidence, challenging, positivity and rehearsal was most important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letter of introduction had a similar pattern. They preferred numeric data and headline patterns and primarily described their advantages as well as focused on visions and jobs after passing the interview.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15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