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5권 3호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 연결망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저자명
조윤성 홍아정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15-03-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2.31
등록일
2012.12.31
  이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들의 사회 연결망과 경력계획간의 영향관계와 이 둘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여성발전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경력단절 여성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 연결망이 경력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 연결망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지원체계가 경력계획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경력단절 여성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shed light on women's career interruption, which is a growing concern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ed women's social networks and career planning an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213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were enrolled in Seoul Women's Development Centers were select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surve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areer interrupted women's social networks had influence upon their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medi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ocial networks and their career planning.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meet more people and interact with other people frequently and intensively, will feel more efficient about themselves and that may lead them to plan their career. Thus,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channels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may enhance women's self-efficacy and enlarge and strengthen their social network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1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