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조기 퇴사율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vestment in corporate training on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저자명
이지은 송지영 양동훈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1-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2.12.31
등록일
2022.05.11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기업들의 교육훈련 투자가 조기 퇴사율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설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조기 퇴사율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을 통해 조기 퇴사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 결과,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조기 퇴사율을 낮추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근로자의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기 퇴사율을 낮추는 데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도의 경우에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직무만족도는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조기 퇴사율 간의 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조직몰입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매개변인으로 한 교육훈련 투자와 조기 퇴사율 간의 전체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조직문화 관련 연구들의 주장을 뒷받침한다는 점, 기업의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가 조기 퇴사율을 유의미하게 낮춘다는 결과는 인적자원의 유지 및 관리 차원에서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는데 초석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Korean companies’ investment in training on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by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and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by set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parameter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irst,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will negative affect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Second,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will have an effect on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via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e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Second, the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it indicated that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bu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job satisfaction played a role between the corporate’s training and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as a mediator but had no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it was significant that the total indirect effect between investment in training and the rate of early resignation via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arameter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ed the result of studi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nvestment in trai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t also suggests that training is necessary on the level of maintain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