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6권 2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 유형과 개인특성 및 진로지도 만족도의 관계
A Study on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저자명
- 김성남
- 분류정보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6-02-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08.31
- 등록일
- 2013.08.31
이 연구에서는 2011년에 실시된 ‘고졸자 취업진로조사(HSGOMS)’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을 이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특성 및 진로지도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을 취업목표 설정과 진로준비행동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 기초하여 이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개인특성(성별, 계열, 성적, 전공 선택) 및 진로지도 만족도(학교 진로지도, 학교 취업지원, 가정 진로지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 유형은 A타입(29.9%), B타입(13.8%), C타입(25.0%), D타입(31.3%)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진로발달 유형이 개인특성 및 진로지도 만족도 관련 변인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ferencing data from the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HSGOM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to career guidance and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When the two variables including goal setting for getting a job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four different types of career development are obtained: ideal, pseudo, behavioral and immature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is as follows: ideal type(29.9%), pseudo type(13.8%), behavioral type(25.0%); and immature type(3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and some of variables concern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to career guid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results, some implications on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are suggest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6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