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6권 3호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에 대한 학교 효과 분석 : HGLM 모형을 활용하여

The Effect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Characteristics on Student Employment : Utilizing HGLM Model
저자명
이쌍철 주현준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6-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31
등록일
2013.12.31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간 취업률의 차이가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개인 및 가정 수준 변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교의 어떠한 특성들이 학교 간 취업률 차이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KEEP 데이터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경영참여가 활발한 학교일수록 학교의 취업률은 낮아진다. 둘째, 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교일수록 학교의 취업률은 낮아진다. 셋째, 학교 구성원 간 관계가 양호할수록 학교의 취업률은 높아진다. 넷째, 진로교육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일수록 학교의 취업률은 높아진다. 이러한 결과는 특성화고의 노력이 학생 취업에 긍정적 효과를 줄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더불어 고졸 취업 문제는 사회적·정책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at characteristics affect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 rate amo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hile controlling the variable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not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rate amo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o this end, KEEP Data provided by KRIVET from 2004, 2005, 2007, and 2008 was used for this stud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active involvement on behalf of parents in the management of schooling, the lower the schools' employment rates. Second, i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is reduces the employment rate. Third, a healthy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of the schools increases the employment rate. Fourth,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for career education increases the employment rate. This result is significant because it demonstrates that the effort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s can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Also, this suggests that the issue of high school students' employment requires both social and government influenc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6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