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6권 3호
부모의 자녀 진로지도효능감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An Investig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areer Guidance Efficacy Scale
- 저자명
- 유정이 최봉순
- 분류정보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6-03-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2.31
- 등록일
- 2013.12.31
이 연구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진로지도효능감 척도(유정이, 2009)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부모와 자녀의 특성변인에 따른 진로지도효능감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서 표집된 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1,548명이었다. 연구 결과, 부모의 자녀 진로지도효능감 요인으로 32문항의 7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상위요인으로 ‘지지’(하위요인으로는 적극적인 진로지원, 자녀에 대한 수용과 격려, 진로교육 경험, 자녀에게 자율과 책임을 부여)요인과 ‘조절’(하위요인으로는 부정적 정서 경험, 배우자의 관여, 자녀특성의 인식)요인이 확인되었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내적합치도와 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고,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진로지도효능감은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년이 낮을수록 높게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부모의 자녀 진로지도효능감이 다른 연령의 부모보다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areer guidance efficacy scale (Ryu Jeongyi. 2009) of the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e also attempted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career guidance effic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A total of 1,548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across Korea were surveyed. The study identified 7 factors represented by 32 items regarding career guidance efficacy. The 7 factors can be categorized into 2 higher factors for career guidance efficacy: "support" (sub-factors: active career support, acceptance and encouragement for childr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giv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o children) and "regulation" (sub-factor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the spouse's involvement, and awareness of chil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internal consistency and retest reliability were us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construct validit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areer guidance efficacy and where the participants live. However, career guidance efficacy is greater when the mother's education level is high and when the children are in lower grades. By age, career guidance efficacy of parents in their forties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age group.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6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