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권 1호

한국의 숙련수익률 변화: 2000~2012년을 중심으로

The Return to Skills : 2000~2012 of Korea
저자명
장혜원 김혜원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7-0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4.30
등록일
2014.04.30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숙련의 대리지표로 사용하는 학력에 한정하지 않고 직업사전의 숙련 지표들을 활용하여 숙련요인을 도출하고 임금구조 기본통계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숙련 수익률을 측정하였다. 초과교육과 초과경력을 통제한 후, 인지적 숙련의 수익률은 해당 기간 40∼45%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육체적 숙련과 감각적 숙련의 수익률은 감소하였다. 숙련을 통제하지 않았을 때 교육연수의 수익률은 평균 10%였으나 숙련요인을 통제하면 평균 6%로 줄어들어 직무와 관련된 숙련의 다차원적 특성과 깊이의 중요성이 확인되며 학교교육 이외의 직업훈련, 현장에서 경험 등 숙련 형성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human resource research, we usually analyze the return of education with the  hypothesis: education is a proxy of abilit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turn to various dimensions of skill, including formal education with alternative measure based on the observed skill characteristics of the job from 2000 to 2012 in the Korean labor market. By means of common factor analysis using job information in the Korean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we extracted 3 measures of job-based skills: cognitive skill, physical skill and sensory skill. We found that the return to cognitive skill had been consistent with 40∼45% for 13 years whereas return to sensory skill and physical skill had been decreased with controlling extra-education and extra-experience. Also after controlling skills factors, the return to schooling falls from 10% to 6%.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various skills formation mechanism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informal learning in career path, in addition to schooling.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