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권 1호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습참여도를 매개로 인지전략사용에 미치는 영향

The Analysis of Struct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self-determination, engagement in learning, and cognitive strategy
저자명
문병상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7-01-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4.30
등록일
2014.04.30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중학교 3학년 패널 4차 자료(2007년도) 1,50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습참여도를 매개로 인지전략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자기결정성의 자율동기에 정적으로, 통제동기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학습참여도(노력 및 끈기)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기결정성의 자율 동기는 통제동기보다 학습참여도인 노력 및 끈기에 정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자기결정성의 자율동기는 표층 수준의 인지전략인 시연보다 심층 수준의 인지전략인 정교화와 초인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더 많이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자기결정성의 통제동기는 표층 수준의 인지전략인 시연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심층 수준의 인지전략인 정교화와 초인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자기결정성의 자율동기를 매개로 학습참여도와 인지전략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자기결정성의 통제동기를 매개로 학습참여도와 인지전략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성의 자율 동기는 학습참여도를 매개로 하여 인지전략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통제동기는 학습참여도를 매개로 인지전략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utonomous-control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engagement in learning, and deep-surface cognitive strate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7 high school students being sampled from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KEEP). The statistical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AMOS 18.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was evaluated as being very appropriate. Second, parental autonom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nomous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engagement in learning,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control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Third, autonomous/control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gagement in learning. Fourth, engagement in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deep and surface cognitive strategy. Fifth, autonomous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ep and surface cognitive strategy, but control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deep cognitive strategy except surface cognitive strategy. Sixth, parental autonomy support did indirectly affect deep and surface cognitive strategy through autonomous-control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engagement in learning significantl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