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1호
복수전공 이수가 첫 직장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ual-major Degree Program on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 저자명
- 김훈호 우한솔 김한길 김별희
- 분류정보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8-01-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5.04.30
- 등록일
- 2015.04.30
이 연구는 복수전공 이수가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의 첫 직장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0년도 대학 졸업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취업성과에 대한 대학의 고유한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대학 고정효과(college fixed effect)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전공 및 복수전공 계열에 따라 복수전공 이수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전공 계열과 복수전공 계열 간의 상호작용 항을 분석 모형에 포함시켰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복수전공 이수자의 취업 확률은 단일 전공자에 비해 약 1.3배, 첫 직장의 월평균 소득은 약 5.5만 원 정도 높았으나, 첫 직장의 정규직 여부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취업 여부와 첫 직장의 정규직 여부에 대한 주전공 및 복수전공의 상호작용 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첫 직장 월평균 소득의 경우 주전공과 복수전공의 상호작용 효과가 일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문계열 주전공자가 인문계열 내 타전공이나 상경계열로 복수전공할 경우 인문계열만 전공한 졸업생에 비해 첫 직장 월평균 소득이 각각 17만 원, 11만 원 정도 높았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4-year university graduates,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effect of having a dual-major on their employment outcome.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is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 (GOMS), provided by the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he College Fixed Effect model which is useful when controll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We also analyzed their interaction between single major and dual-major degre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outcome. As a resul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ompletion of a dual major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lary of their first job. However, it did not have effect on the contract type of the employment (permanent contract). Secondl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ajor program and dual-major in terms of the employment outcome and whether the individual obtained permanent position. Thirdly, in terms of the monthly salary on first job, the interaction of major-program and dual-major program has shown significant effect partially, especially for liberal arts graduates with a dual major in other liberal arts subject, commerce and business subjects had a higher average salary than their peers who had major in liberal arts onl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