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1호

떠나는 자와 남는 자 : 대학진학과 대졸취업 시 지역이동을 중심으로

Who Leaves and Tho Stays? : When Entering College and Finding Job after Graduation
저자명
유재언 남효정 김재호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8-01-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04.30
등록일
2015.04.30
  본 연구는 대학 진학과 대졸 취업 과정에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지역이동 경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고등학교와 동일 지역으로의 대학진학 및 대졸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04년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대졸 임금근로자(2012년 기준) 738명이다.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차년도(2004년)~9차년도(2012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조사 자료를 통해 GIS 지도화 및 이변량 프로빗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소재 도시규모, 고3시절 원가족 월 평균소득, 대학교 전공에 따라 고등학교와 동일 지역으로의 대학진학 여부에 차이가 났고, 이러한 대학진학 여부는 고등학교 동일 지역으로 대졸취업 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 고등학교 동일 지역으로의 대졸취업 여부에는 고등학교 소재 도시규모, 대학교 소재 도시규모, 대학교 전공에 따라서 차이가 났다. 4년제 대학교와 2∼3년 전문대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인문계 고등학교 여부, 고3시절 원가족 월 평균소득, 성별, 대학교 소재 도시규모가 4년제 대학교 졸업자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로 구분한 분석에서는 고등학교 소재 도시규모, 고3시절 원가족 월 평균소득, 대학교 소재 도시규모, 대학교 유형, 대학교 전공, 직장유형이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만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tendency of geographical mobility at the time of entering college and getting a job after graduation, and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going to college and finding a job in the same province as where the high school is located. The study was conducted on 738 participants who were employed in 2012, referring to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GIS mapping analysis reveals that young adults flew into big cities, flowing out from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when entering college and finding a job after graduation. Bivariate probit model reveals that geographical mobility of entering a college had an influence on geographical mobility of getting a job after graduation.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groups of four-year-course colleges and academic high school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